d라이브러리
"대표"(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로버·초음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20~2만Hz 진동수의 소리만 들을 수 있답니다. 초음파는 일상생활에 많이 이용돼요. 가장 대표적인 예가 임산부의 태아 영상이에요. 초음파 영상은 1 ~ 30MHz의 진동수를 갖는 초음파를 인체 안으로 투과시킨 뒤, 장기나 태아 등 내부에서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를 영상으로 만든 것이랍니다.또, 안경을 ... ...
-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연결된 완벽한 ‘뇌 지도’를 만들 수 있다면 뇌의 작동 과정도 알아낼 수 있지 않을까. 대표적인 사례가 2009년 미국의 주도로 시작된 ‘휴먼 커넥톰(connectome·연결성) 프로젝트’다. 휴먼 커넥톰 프로젝트는 이름 그대로 인간의 뇌 속 신경세포들이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 조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 ...
- [수학 THE LOVE] 수학과 물리는 한 몸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공개강의EOE는 외부 활동을 통해 수학과 물리학 공부의 즐거움도 알리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활동은 공개강의다. 공개강의는 일종의 재능 기부 형태로 진행된다. 최경돈 씨는 “미적분학과 일반물리학을 필수로 수강해야 하는 1학년을 위해 시험 기간에 공개강의를 연다”며 “부원 중에서 강사를 ... ...
- 연금술에서 과학으로 '화학 혁명' 이끈 위대한 불꽃과학동아 l2019년 06호
- O₂, O₃에 이어 O₄도 발견돼 산소는 다양한 물질과 산화물을 이루는데, 그중 가장 대표적인 물질이 바로 물(H₂O)이다. 산소의 발견과 연소반응에 관한 탐구로 근대 화학이 시작됐다면, 물의 분자 구조에 대한 이해는 화학의 발전 과정을 함축한다. 원자설을 주창한 영국 화학자 존 돌턴은 산소와 ... ...
- 대한수학회 회장 금종해 교수 인터뷰 "수학 실력은 국가 경쟁력!"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없을 때까지 모든 풀이 과정을 이해하고 확인하세요. 이렇게 공부하면 문제 유형마다 대표 문제 하나만 풀어도 충분합니다. 정확하게 이해했으면 비슷한 문제를 전부 풀 수 있으니까요.진짜 수학을 잘하는 사람은 수학 문제를 보고 재밌는 장난감을 찾은 것 같은 표정을 해요. 즐기는 거죠. 어느 ... ...
- 상어가족보다 힘센 동물은 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인터뷰 “의도치 않게 상어를 잡는 일도 멈춰 주세요!”_이안 캠벨(프로젝트 어웨어 부대표)이안 캠벨은 30년 동안 상어 보호 활동을 펼치다 바다를 지키는 다이버 단체인 ‘프로젝트 어웨어’에 지난해 합류했어요. 다이버에게 상어를 사랑하는 법을 들어 보세요! Q 상어를 지키기 위해 어떤 일을 ... ...
- 오퍼튜니티, 성과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암석이나, 주변은 딱딱한 암석인데 물길 부분만 깎여져 붉은 토양이 드러나 있는 사진이 대표적이랍니다.●인터뷰_ 오퍼튜니티 장수 비결은 바람이에요! _타냐 해리슨(미국 아리조나대학교 뉴스페이스 연구소 디렉터)Q 오퍼튜니티와 미션 팀에서 하신 일은?3년 전 합류해 Pancam을 다뤘어요. 카메라와 ... ...
- 포켓몬 몸집의 물리학 피카츄는 뚱뚱할까, 날씬할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수많은 포켓몬들의 속성이 세세하게 기록돼 있다. 심지어 키와 몸무게까지도 말이다. 대표적인 포켓몬의 키와 몸무게 몸무게키와 몸무게의 분포가 매우 넓은 것을 알 수 있다.체질량지수는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눠 구했다. 키 0.4m, 몸무게 6kg 피카츄의 체질량지수 그중 가장 대중적이고 ... ...
- [영국유학일기] 쉬운 질문은 사절 매일 자습은 필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동기의 말에 따르면 강의 내용에 비해 문제가 너무 어려웠다고 한다. 결국 학과의 학년 대표들이 직접 교수를 찾아가 사과하면서 이 사건은 일단락됐다. 그렇다고 해서 결코 교수들이 불친절하고 무섭다는 의미는 아니다. 며칠 전 그 교수가 진행하는 워크숍에 갔는데, 학생들이 준비만 열심히 ... ...
- [따끈따끈한 수학] 어떤 경로도 다르게! 반복없는 색칠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6호
- 가장 적은 색을 써서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하는 ‘4색 정리’는 평면 그래프 색칠 문제의 대표 난제였습니다. 1976년 두 명의 미국 수학자 케니스 아펠과 볼프강 하켄이 4가지 색이면 어떤 평면 그래프도 이웃한 꼭짓점이 다른 색이 되도록 칠할 수 있다고 밝혀 문제가 해결됐지요. 투에의 연구를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