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착
고착
안정
붙박이
불변
부착
붙바기
d라이브러리
"
고정
"(으)로 총 1,798건 검색되었습니다.
1. 지상에서 우주로 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태어나면서 사람들은 전화선의 제약에서 벗어나는 해방감을 맛보았지만, 휴대전화 역시
고정
된 기지국과 교환기가 자동차와 사람의 움직임을 통제해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입된 서비스 지역에서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위성 이동 통신은 우주 공간에 ... ...
물리 - 영구기관, 에너지보존법칙에 어긋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C로 변하는 경우는 압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부피가 증가하는 경우이므로 '정압팽창'이다.
고정
된 피스톤을 개방시키면 압력이 줄면서 팽창하므로 정압팽창이 되지 못한다. 높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부피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피스톤을 개방하기 전에 피스톤 위에다 피스톤 내부의 압력과 ... ...
보통카메라로 천체 사진 찍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고정
시킨다. 이때 카메라 삼각대는 크고 튼튼할수록 좋고 카메라를 원하는 방향에
고정
시킬 수 있도록 장치가 되어있어야 유리하다. 그 다음 릴리즈를 카메라 셔터에 연결한다. 이렇게 준비된 카메라를 하늘로 향하고 노출을 3초 이상 주어 촬영을 하게 되면 사진에는 무조건 별이 찍히게 된다 ... ...
지구과학- 머리카락으로 습도재기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우유팩의 오른쪽 위에 머리카락 한쪽을
고정
시킨 후 다른 한쪽은 수직으로 내려 빨대에
고정
시킨다.④ 우유팩의 오른쪽에 메모지를 붙이고 빨대끝을 경사지게 잘라 눈금을 정확히 가리키도록 한다.이제 남은 일은 며칠동안 여러분이 만든 습도계로 공기중의 습도변화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 ...
2 유전공학 공해 핵 오염보다 무섭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가면서 자원이용 속도는 매우 빨라졌고 생물에 대한 에너지
고정
이 이를 따라갈 수 없게 되었다. 이 결과로 현재 무한정으로 있는 줄 알았던 화석연료는 바닥이 나 버렸고 석유파동 이후 에너지 고갈문제가 심각하게 되었다. 엔트로피 법칙때문이다. 인간들은 엔트로피 ... ...
생물- 동물 골격 표본 만들기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묻힌 솜을 씌운다.5 4의 것을 가슴과 배에 꽂고 접착제로 잘 붙인다. 채집해온 갑각류를
고정
시킬 때는 80% 알코올이나 10% 포르말린을 사용하면 됩니다. 나프탈렌가루를 솜과 함께 몸속에 넣어두면 벌레가 생기는 것을 막아줍니다.자, 어떻습니까? 살아 있는 상태를 그대로 보존한 표본이 금방이라도 ... ...
물리- 태양계 운동 지배하는 뉴턴·케플러 법칙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반경의 약 5.6배의 고도에 해당하는 적도 상공에 있어야 한다. 이러한 위성은 한 곳에
고정
되어 있으므로 통신용으로 적당하다. 함께 생각해봅시다지구와 태양까지의 거리는 약 1억5천만 km로 1AU라고 하고 공전주기는 3백65일로 1년이다. 한편 핼리 혜성의 주기는 76년이다. 케플러의 제 3법칙을 ... ...
우주정거장 여행 10일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수는 없다. 수면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편안히 자기 위해서는 몸을
고정
대에
고정
시킬 필요가 있다.우주정거장 안에서의 활동이 익숙해지면 다음은 우주복을 입고 우주정거장 밖으로 나가보자. 이때 입는 우주복은 매우 특수해서 EVA(extravehicular activities)라 불리는데, 우주유영 사진에서 ... ...
현대과학이 밝혀낸 5천년전 알프스 '얼음인간'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그리고 안쪽에 털가죽을 댄 원뿔형 모자를 쓰고 있었는데, 원래는 턱끝에 가죽끈을 매서
고정
시켰다. 여러번 손을 본 흔적이 남아 있는 송아지 가죽으로 만든 신발이 그의 발을 추위로부터 보호했다. 이 신발 안쪽에는 바깥의 냉기를 차단하기 위한 마른 풀이 가득 차 있었다.의상을 세밀하게 조사해 ... ...
화학 - 물질의 합성 빠르게 하려면…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8%에 불과하였다. 물론 당시로선 공기중의 질소를 콩과 식물이 아닌 인간의 손으로
고정
시킬 수 있었다는 사실 자체에 큰 의미가 있었다.하버의 암모니아 합성을 공업적으로 이용하려면 수득률을 더 높이지 않으면 안되었다. 온도와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암모니아의 수득률을 높일 수 있다. (그림4)에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