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뉴스
"
개
"(으)로 총 21,30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초 기술 적용된 국산 콤포넌트·식기세척기 한 대도 보존 못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2
개
등 125
개
제품은 소재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 국립중앙과학관 관계자는 “현재 20
개
의 국가 중요 과학기술자료 주요 등록 후보를 마련해 선정절차를 밟고 있다”며 “실태조사와 함께 추가 후보를 물색하는 병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 ...
사상 초유 KAIST총장 운명 가를 5명…정부측 당연직 이사 3명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의혹과 성급한 판단으로 국제적 지명도와 국가적 기여도가 큰 과학계 리더에게 KAIST
개
교 이래 최초의 직무정지 총장이라는 굴레를 씌운다면, 앞으로 과학계에 헌신할 연구자가 사라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같은 날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도 원내대책회의에서 “과기정통부는 신 총장에 대한 ... ...
'지열발전일까 자연지진인가' 포항지진 원인 놓고 세계 학계 머리 맞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통해 지진 모델을 만들고 있다고 알렸다. 연구가 완료되는 2월까지는 연구결과를 비공
개
로 하겠다고 밝혔다. 세션에서는 이외에도 포항지진에 관한 분석과 한반도 지진 예측에 관한 연구들이 발표될 예정이다 ... ...
[불붙은 달 탐사 경쟁]①日 민간 최초 ‘달 셔틀’ 보낸다
2018.12.11
계약을 맺고 ‘팰컨9’에 로버를 실어 보내기로 결정했다. 2021년 아이스페이스가
개
발한 달 착륙선이 달 표면에 안착하면 민간 기업 최초로 달 착륙 기술을 확보했다는 의미를 얻는다. 최근 아이스페이스는 이런 발전 가능성에 공감하는 일본의 13
개
대기업에서 총 10억5000만 엔(약 1019억 원)에 ... ...
기후변화의 공범 미국·러시아에 분노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감축 기준에 대한 합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미국과 러시아를 포함하는 4
개
국의 강력한 반대로 새 국면을 맞게 됐다. 중국은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따라 조금씩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가고 있다. 지속적인 석탄의 사용으로 인해 지난 2년간 중국 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증가했지만 ... ...
고생물학 디지털 화석으로 부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콜렉션 매니저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스미스소니언박물관에만 약 4000만
개
의 화석 표본이 있다”며 “박물관에 갇혀있던 화석 표본들이 디지털화를 통해 속속 빛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속도라면 이를 완성하는 데는 약 50년이 걸릴 것으로 분석된다. 그는 "더 빨리 작업을 완수할 ... ...
내년부터 PC·노트북에서도 얼굴로 간편결제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수형 ETRI 정보보호연구본부 기술총괄은 “향후 본 기술을 현재
개
발 중인 블록체인 아이디 관리 기술과 접목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는 블록체인상에서 FIDO2 기술을 이용한 고보안성 사용자·기기 인증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 ...
지하에서 화성 생명체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방법에 대한 단서를 찾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지하에 존재하는 생명체는 6x1029
개
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1조에 1조를 곱한 수에 60만을 곱해야 얻어진다. 미국의 뉴욕주 플랫아이언 연구소 카라 마그나보스코 연구원은 지난 9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구과학’에 이전까지 연구를 ... ...
국내 1호 발명체험교육관 경주에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교원에게는 체험위주의 연수 제공하는 장소로 활용될 예정이다.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
발·보급과 체험 전시관 운영을 통해 창의성이 뛰어난 학생을 조기에 발굴·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북 교육청은 경주 황남초등학교 건물을 단장해 ’발명체험교육관‘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허황옥이 차나무 씨앗을 가져와 심었다는 전설은 역사가 되지 않을까. ※ 필자소
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일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 ...
이전
1400
1401
1402
1403
1404
1405
1406
1407
1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