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스페셜
"
크기
"(으)로 총 159건 검색되었습니다.
“응용산업보다는 소재 개발이 우선”
동아사이언스
l
2013.06.28
없는 상태에서 응용을 시도하다 보면 소재의 성능이 뒤쳐져 중간에 실패할 확률이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현실은 어떻습니까. 응용 분야를 거론하지 않고 기초 소재만 개발하겠다고 나서면 연구비를 지원받기 어렵습니다. 당장 눈에 보이는 성과가 더 커 보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그는 ... ...
미래사회 변화에 따른 기술혁신 패러다임 전환 전망
KOITA
l
2013.06.25
동기화, 인터넷 등으로 인한 빠른 확산 그리고 각 가치 사슬 간의 연결성 증가는 위험의
크기
를 가늠하기 힘들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를 위해 5R 차원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 ...
반도체의 탄생과 새로운 지평
KOITA
l
2013.06.17
회로를 흐르는 전기신호가 오염되지 않도록 절연하는 일도 문젯거리였다. 부품의
크기
를 줄여 회로의 집적도를 높이자면 회로 곳곳을 연결하는 전선들의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대한 작으면서도 확실하게 절연막을 입혀야 했다. 마침 동료 중 한 사람이 세 겹으로 쌓은 반도체 위에 반도체 ... ...
"나노기술은 타 분야와 오케스트라처럼 협연해야 빛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6.12
해야 현 교수 연구실의 트레이드 마크는 ‘균일한 나노입자’다. 그는 2004년 균일한
크기
의 나노 입자를 기존 방법보다 1000배 저렴하면서도 양은 1000배 많이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논문은 ‘네이처 메태리얼’에 실리고 1200번 이상 인용될 만큼 획기적인 연구로 인정받으며 나노기술 ... ...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치명적인 은나노복합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04
이상의 제거율을 기록했다. ※ E. coli CN13: 그람-음성 박테리아로 직경×길이가 1㎛×2㎛
크기
의 막대 모양임. ※ Bacteriophage MS2: 식물성 RNA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직경 27.5 nm의 구형 모양임. 복합체 위에 고정된 은 나노입자가 이빨과 같은 역할을 하여 접촉하는 박테리아를 물어뜯고, 표면의 은 ... ...
“나노기술 사업화 위해서는 꾸준한 지원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6.02
나노(10억분의 1m) 수준이다. “촉매는 에너지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나노
크기
의 백금을 촉매로 활용하면 낮은 온도에서 열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아무리 좋은 기술을 개발해도 산업계의 반응이 신통찮다는 것이다. 산업계는 기존 기술을 계속 사용하려는 ... ...
휘어지는 투명 유기분자 메모리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5.30
최근 실리콘 소자의 집적도 한계를 넘어, 다양한 기능을 가진 유기분자를 이용한 나노
크기
의 분자소자로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하지만 기존 실리콘이나 금 같은 금속을 사용하는 분자소자의 경우 전극을 이루는 금속입자가 위에 놓인 유기분자막으로 침투할 수 있어 전도성을 잃는 등 ... ...
구리 vs 구리
KOITA
l
2013.05.30
녹여 붙여야 했습니다. 접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알루미늄 막대표면에 세밀한 나노(Nano)
크기
규격의 분화구 모양을 만들면 녹은 플라스틱이 쉽게 차 들어가 접합에 도움이 되었지만, 구리 막대는 물성이 달라서 생각처럼 접합되지 않았습니다. 오전 내내 내 머릿속이 온종일 이 기술개발에 ... ...
감시의 성격을 바꾸어 놓은 테크놀로지
KOITA
l
2013.05.28
수룰 제약하는 요인이었으며 감시의 한계는 곧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한 사회의 복잡도와
크기
를 결정했다. 그러나 사람의 감각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과 기술이 등장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기계는 오작동할지언정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 상황에 따라 변덕스러운 모습을 보이지도 않는다. ... ...
원자력硏 개발 고성능 핵연료 소결체 성능 DB EPRI(美전력연구소)에 수출
동아사이언스
l
2013.05.27
포집하는 능력이 좋을수록 기술의 안전성이 높아지며, 핵분열 기체 포집능력은 결정립
크기
가 클수록 좋아진다. ※ 고온 변형 유연성 : 고온에서 유연하게 변형될수록 소결체를 둘러싸고 있는 피복관에 압력을 가하지 않게 되어 안전성 및 핵연료 수명이 향상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독자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