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스페셜
"
크기
"(으)로 총 159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 과학상, 패러다임을 바꿔야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06
펼친 것이다. 우주의 별이 최후를 맞아 폭발하며 밝게 빛나는 ‘초신성(supernova)’ 중에는
크기
가 크든 작든, 질량이 높든 낮든 폭발할 때의 밝기가 거의 같은 집단이 존재한다. 빛의 세기가 일정하므로 거리를 판단하는 기준점으로 삼기에 적당하다. 우주의 팽창이 느려지고 있다면 지구와 초신성의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스핀트로닉스를 응용한 논리 트랜지스터는 전하를 이용한 방법과 달리 나노 단위의
크기
에서도 신뢰성 높은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보다 집적도가 훨씬 높은 회로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은 산업 뿐 아니라 국가정책에도 직접 영향을 미치곤 한다. 대표적인 분야가 ... ...
“나노 기술은 나무 ‘밑동’…투기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13.09.25
“다 똑같아 보이는 나노 입자도 공정 후에
크기
가 각각 달라지는 데 이 때 동일한 나노
크기
를 끄집어내야 기술적으로 의미있는 것”이라며 나노 기술의 표준화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과학기술에서 표준화 작업은 세계 각국의 합의와 동의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문서작업만 3년 이상이 ... ...
임진왜란 해전 승리의 비결이 거북선이라구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각종 노략질을 일삼았는데, 이런 상황에서도 조선 수군은 속수무책이었다. 그것은
크기
가 커지고 선상(船上)에 방패를 설치하는 등 왜선의 구조가 개선되어 우리의 총통으로 격파하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조선으로서는 개량된 왜선을 대적할 수 있는 새로운 함선의 개발이 요구되었고, 이리하여 ... ...
“나노기술은 창조경제에 가장 적합”
동아사이언스
l
2013.09.13
백 번 플래시를 터뜨리면서 촬영할 수 있을 정도로 충전 용량이 충분하면서도 매우 작은
크기
의 전지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런 전지를 개발하려면 앞에서 발한 바텀업 나노 원천기술이 필요합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나노기술을 통한 신시장 창출의 맥이 있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반도체, ... ...
무인로봇을 심해로 보낸 까닭은?
KISTI
l
2013.09.12
물제트 뒤에서 망간단괴만 분리해 미내로 내부로 운반한다. 이후 망간단괴는 적당한
크기
로 부서져 중간저장소까지 옮겨진 뒤 다시 바다 위에 떠 있는 배로 전달된다. 망간단괴를 효과적으로 캐기 위해서는 바다 밖에서도 미내로의 위치를 확인하고 조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것쯤은 ... ...
시간과 공간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무선통신
KOITA
l
2013.09.10
이미 유럽과 미국의 사람들이 타이타닉의 침몰사실을 알고 있었다. 규모가 꽤나
크기
는 했지만, 북대서양의 망망대해에서 앞이 제대로 보이지도 않는 한밤중에 벌어진 사건이 반나절도 지나기 전에 주요국가에 모두 알려진 것이다. 타이타닉의 소식은 큰 충격과 함께 경이로움도 전해주었다. 4월 2 ... ...
무인로봇을 심해로 보낸 까닭은?
KISTI
l
2013.09.10
물제트 뒤에서 망간단괴만 분리해 미내로 내부로 운반한다. 이후 망간단괴는 적당한
크기
로 부서져 중간저장소까지 옮겨진 뒤 다시 바다 위에 떠 있는 배로 전달된다. 망간단괴를 효과적으로 캐기 위해서는 바다 밖에서도 미내로의 위치를 확인하고 조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것쯤은 ... ...
예술가는 과학자?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바라본 ‘과학+미술’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회화에서 원근법은 세 가지 요소로 나뉜다. 첫 번째 요소는 다양한 거리에 맞춰 몸의
크기
를 축소하는 것, 두 번째는 이렇게 축소된 몸의 색채를 줄이는 것이고, 세 번째는 다양한 거리에 맞춰 몸의 형태 및 선명도를 낮추는 것이다." 미술계의 거장 중의 거장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했던 이와 같은 ... ...
안정성과 유전정보의 다양성 돕는 재조합 기전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3.08.27
염색체에 있는 염색분체 ** 상동염색체 : 부계와 모계로부터 각각 물려받은 모양과
크기
가 같은 두개의 염색체 연구팀은 효모모델을 이용하여 세포분열시 일어나는 DNA 이중가닥 절단복구 관련 상동재조합* 과정에서 체세포는‘Rad51’, 생식세포는 ‘Dmc1’이라는 단백질이 각각 핵심역할을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