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소
단축
shrinkage
감소
절감
제한
경련
스페셜
"
수축
"(으)로 총 157건 검색되었습니다.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
2016.11.14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의 탄력이 떨어지며 모양체근이
수축
해 인대가 느슨해져도 원래 상태대로 돌아가지 못하게 된다. 그물침대를 매단 나뭇가지가 사람이 없을 때도 원래 각도로 회복되지 못하는 것과 같다. 실제 인대가 당기는 힘을 받지 않을 때의 수정체 지름이 ... ...
별은 어떻게 태어날까?
2016.11.01
다 합치면 태양질량의 30%는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 원시별들은 앞으로도 중력
수축
을 계속하다가 수백만 년이 지나면 중심에서 핵융합반응이 일어나며 진짜 별로 변신할 것으로 보인다. 학술지 ‘사이언스’ 9월 30일자에는 어린 별 주변에서 나선을 이루고 있는 가스구름을 ALMA로 관측해 분석한 ... ...
말 못 할 고민, 과민성 방광
2016.10.21
닿아있는 신경세포 말단에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방출을 차단해 방광 근육을
수축
하지 못하게 하면서 근육을 마비시켜 방광 근육을 이완된 상태로 만드는 것. 전문가들은 치료 효과에 대해 시술받은 환자 중 70~80%가 요실금이 사라졌고 30%는 요실금 양이 감소했다고 전했다. 다만 보톡스는 ...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
IBS
l
2016.09.01
작은 가오리 모양의 로봇을 제작했다. 청색 빛을 쪼이면 전기신호를 만들며 근육이
수축
해 별도의 동력원 없이 움직일 수 있음이 확인됐다. 로봇의 성공은 향후 인공심장 개발의 기술적 기반이 될 전망이다. 별도의 동력원이 없이 빛으로 움직이게 만든 '가오리 로봇' - 사이언스 제공 앞서 지난해 ... ...
등골이 서늘해지는 공포영화의 비밀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8.18
혈액을 뇌, 심장, (도망가는 데에 필요한) 근육으로 집중시킨다. 피부 혈관과 털세움근은
수축
해 핏기가 사라지고 몸의 털이 '바짝' 서게 된다. 이런 변화들은 일시적으로 몸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공포영화에서 시원함을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공포영화를 즐기는 또 다른 ... ...
고혈압만 위험? 여름엔 저혈압도 주의!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8.18
기준은
수축
기(최고) 혈압 90mmHg, 확장기(최저) 혈압 60mmHg 이하다.
수축
기 혈압은 심장이
수축
하면서 혈액을 내보낼 때, 확장기 혈압은 심장이 이완되면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혈관 벽이 받는 압력을 말하는데 수치보다 증상의 유무가 중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저혈압으로 진료를 받는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6.07.10
여기에 청색광을 쪼이면 전기신호가 몸 전체로 퍼져나가면서 근육이 순차적으로
수축
하고 이완하며 가오리 로봇이 헤엄을 치게 된다.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 없는 셈이다. 이때 머리 부분에 가하는 빛의 주파수를 조절하면 가오리 로봇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광학적 자극을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했다. 사진속의 완두에 이를 적용해보면 둥근 콩과 부푼 콩깍지는 우성이고(주름진 콩과
수축
된 콩깍지가 열성) 녹색 콩은 열성이다(노란 콩이 우성). - Bill Ebbesen 제공 ● 다윈 논문 안 읽은 듯 래딕 교수의 기고문들을 읽으며 필자는 공감하는 측면도 있었지만 그래도 교과서에서 뺀다는 건 좀 ... ...
피해망상과 환각…조현병(정신분열증)의 원인은?
2016.05.23
건강한 사람의 뇌(왼쪽)에 비해 뇌의
수축
이 더 빠르게 일어난다. 그림에서 빨간 부분이
수축
률이 높은 영역으로 환자의 전두엽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 Elsevier Science Publishing/Tyrone Cannon 제공 ● 선진국 도시 환자가 증상 더 심각 보통 질병에 걸리면 의료체계가 잘 돼 있는 선진국의 도시인들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계산을 하자 이상한 결과가 나왔다. 즉 질량이 아주 작은 부피로 압축될 경우 시공간도
수축
되면서 빛조차 빠져 나가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어떤 질량에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임계 지점을 ‘슈바르츠실트 반지름’(구형이라고 했을 때)이라고 부른다. 태양의 경우 이 값은 약 1.5km이고 지구는 0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