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소
단축
shrinkage
감소
절감
제한
경련
스페셜
"
수축
"(으)로 총 15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들숨에 따라 자연적으로 이뤄진다. 그 뒤 다시 들숨 뉴런 네트워크가 켜지며 횡격막이
수축
하며 2초 정도 숨을 들이쉬고 네트워크가 꺼지면 다시 이완해 3초 동안 숨을 내쉰다. 즉 대략 5초 주기로 들숨과 날숨 세트가 반복된다. 그러다 상황이 바뀌어 호흡이 빨라지거나 깊어질 필요가 있으면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갖는 특이점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수축
하며, 죽음을 맞이하는 별이 특정 반지름까지
수축
하면 공간과 시간이 끝나는 지점(특이점)이 발생함을 증명했다. 호킹은 이를 우주의 팽창에 적용했다. 우주가 팽창하기 전 초기에도 밀도가 무한이었던 특이점, 즉 빅뱅 시점이 반드시 있어야함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증명한 특이점(singularity)에 주목했다. 특이점은 죽음을 맞이하는 별이 특정 반지름까지
수축
하면 발생하는 공간과 시간이 끝나는 지점이다. 호킹은 우주의 팽창에 이를 역으로 적용해 시공이 시작된 특이점, 즉 빅뱅(big band)이 존재함을 증명했다. 1966년 호킹은 이 결과를 담은 박사학위논문을 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앞에서 설명했듯이 동반성에서 물질이 유입돼 찬드라세카 질량에 이른 백색왜성이 중력
수축
을 하다 폭발한 게 1형 초신성이지만 사실 다른 시나리오도 있다. 즉 근접쌍성계의 두 별의 질량이 비슷해 비슷한 시기에 둘 다 백색왜성이 될 경우 그 어느 쪽도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유입을 기대할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에너지도 거의 쓰지 않을 것 같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즉 심장은 여전히 1분에 60~70회씩
수축
과 이완을 반복하고 신장은 24분 주기로 온 몸의 피를 걸러내고 있다. 뇌는 우리가 아무리 ‘멍 때리고’ 있을 때라도 전체 칼로리 소모량의 20%를 쓰고 있다(디폴트모드네트워크가 돌아가고 있다고 말한다).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분비되면 근육 말단의 수용체가 이 물질을 받아들여 신호가 전달되면서 근육이
수축
되는데, 중증근무력증은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항체가 생겨 신호가 신경에서 근육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질환이죠. 중증근무력증의 면역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항체 형성을 막기 위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받는 조직에 많이 존재해 완충 역할을 한다. 표면이 음전하이기 때문에 힘을 받아 조직이
수축
되면 단백당 분자들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정전기적 반발력이 커져 버티는 것이다. 힘줄뼈부착부위가 큰 힘을 받아도 짜부라지지 않고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 ...
이 괴물이 인류의 조상이라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2
있다. 얇은 몸체는 유연한 피부와 근육으로 구성되며, 사코르히투스는 근육을
수축
하고 꿈틀거림으로써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항문이 따로 없기 때문에 소화하고 남은 체내 찌꺼기를 입을 통해 다시 배출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이 화석이 ‘후구동물’의 가장 초기 형태인 ... ...
성인병의 주범? 소금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입증했다. 이에 따르면 하루 6g 이상의 소금을 30년 이상 지속적으로 섭취할 경우
수축
기 혈압이 9mmHg정도 증가할 수 있다. 소금이 고혈압을 유발, 뇌졸중과 심장혈관 질환의 발병률과 사망률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1966년부터 2008년까지 시행된 연구를 대상으로 염분 섭취와 뇌졸중, 심혈관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
2016.11.14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의 탄력이 떨어지며 모양체근이
수축
해 인대가 느슨해져도 원래 상태대로 돌아가지 못하게 된다. 그물침대를 매단 나뭇가지가 사람이 없을 때도 원래 각도로 회복되지 못하는 것과 같다. 실제 인대가 당기는 힘을 받지 않을 때의 수정체 지름이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