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1,007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공정으로 차세대 에너지 장치 효율·내구성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1
갖도록 만들었다. Ni-YSZ 연료극 표면에서 촉매 입자가 안정화되면서 ’고밀도 촉매-
전극
계면‘이 지속적으로 확보됐기 때문이다. 안 교수는 “반도체 기술과 수소 기술은 전혀 다른 분야처럼 보이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두 기술을 융합해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이미 규모의 경제를 ... ...
일상 움직임으로 웨어러블 기기 충전하는 에너지 수확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그 결과 이온이 각 전해질에서 주변 용매와 상호작용하는 방식과 전해질 환경에 따른
전극
내부에서의 주변 상호작용 에너지가 다르게 나타나는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러한 종합적인 상호작용이 에너지 차이를 발생시킨다"며 "이는 전해질 간 전위 차이를 설명하는 중요한 원리를 ... ...
옷에 붙여 에너지 수확하는 고효율 세라믹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전기적 에너지가 상쇄된다는 문제를 막기 위해 휘어지는 방향에 따라 구간을 나누어
전극
을 독립적으로 배치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기존 신축성 압전 수확기 대비 280배 이상 높은 에너지 효율을 달성했다. 연구팀은 "구조나 공정 프로세스의 최적화가 더 필요하며 이를 통해 더 높은 에너지 ... ...
[사이언스게시판] 생명연, 2024 KRIBB Annual Conference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05
이차전지 제조장비 시장이 2030년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 기술이 이차전지 제조 기술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 ...
3.5mm 초소형 코일로 뇌 자극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04
활용된다.
전극
을 직접 뇌에 삽입하기 때문에 뇌 조직 손상 위험이 있다. 장기적으로는
전극
주변에 염증이 생겨 자극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비접촉식으로 자기장을 이용하는 뇌 자극 방식인 경두개자기자극(TMS)는 머리 전체를 자극해 정밀도가 낮고 두통이나 어지러움 같은 부작용이 ... ...
2차원 소재와 강유전체 접합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세계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04
유지하고자 이황화 텅스텐 소재를 삽입한 후 불필요한 화학 반응을 최소화해 하부
전극
표면을 보호하고 HZO 박막 표면의 산소 원자 이동을 제어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계면 안정성을 확보해 HZO의 강유전체 특성을 극대화하는 결과를 얻었다. HZO 기반의 강유전체를 상용화하는 데 가장 큰 ... ...
과기한림원, 첨단바이오·뉴럴링크 '한림원탁토론회' 잇따라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4.12.03
4가닥의 실이 붙어 있는 형태다. 실에는 한 가닥당 16개씩 총 1024개의
전극
이 부착돼 있다.
전극
은 뇌의 활동을 기록한다. 뉴럴링크 제공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기한림원)은 과학기술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 방안과 범부처 차원의 대응방안, 해당 분야의 발전전략 등을 제시하는 ‘한림원탁토론회’ ... ...
'고농도 상태' 작용 전해질 기반으로 암모니아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24.12.02
‘고체 전해질 계면(SEI)’의 성질을 개선해 반응물의 선택성과 안정성을 높였다. SEI는
전극
고체 표면 막으로서 Li-NRR 반응에서 전해질 요소의 반응물로 이뤄져 있다. 연구팀은 SEI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 전해질의 ‘용매화 구조’에 주목했다. ‘용매화 구조’란 용매의 분자가 이온 또는 ... ...
유독성 '납' 뺀 주석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성·안전성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12.01
줄여 전자 이동이 원활해지도록 돕는다. 연구팀은 또 그동안 밝히지 못했던 구리
전극
금속 원자의 전지 내부 침투 문제, 페로브스카이트 층에서 할로겐 이온의 불안정한 이동 문제를 극복했다. 연구팀은 10월 국제학술지 에코맷(EcoMat)에는 페로브스카이트 필름층에 ‘어븀 염화물(ErCl3)’을 ... ...
구부리거나 돌돌 말아도 문제없는 태양전지·광센서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27
해당 소재는 투명
전극
과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등의 활성층 사이에 계면층으로 사용돼
전극
과 활성층 간 결합 특성을 개선하고 기계적 및 화학적 내구성을 동시에 높였다. 연구를 이끈 임 책임연구원은 “이번 기술은 필름형 유연 기판을 사용하는 롤투롤 생산 공정에서의 생산 수율을 크게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