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뉴스
"
서열
"(으)로 총 1,16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호기심 넘쳐 머리 끝부터 발끝까지 다양해진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4.28
탐색했다. 곳곳을 돌아다니며 들춰보느라 바빴다. 연구팀은 각 시클리드 종의 DNA
서열
을 분석했다. 그중 신경 세포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 근처에 있는 한 가지 DNA 염기가 눈에 띄었다. 이 유전자는 시클리드의 뇌에서 두려움을 감지하고 유발하는 부위인 '하베눌라'에서 활성화 됐다. ... ...
줄기세포로 뇌 신경세포도 재생...돌이킬 수 없는 뇌손상 고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식별할 수 있는 '크리스퍼' 기반 플랫폼을 개발했다. DNA에서 발견되는 특징적인 염기
서열
인 크리스퍼는 유전자의 기능을 인위적으로 교정하는 데 활용된다. 우 교수팀은 크리스퍼 기반 플랫폼을 사용해 쥐의 전뇌 발달에 필요한 유전자를 추려냈다. 7종류의 유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헥스1 ... ...
"지구서 가장 건조한 사막 지하에도 미생물 군집이 산다"
연합뉴스
l
2024.04.24
저지대 토양을 4.2㎜까지 파 내려가 표본을 채취하고, 그 속에 포함된 DNA를 추출해 염기
서열
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지표면에서 80㎝ 깊이까지는 그람양성균에 속하는 피르미쿠테스(Firmicutes) 박테리아가 지배적으로 서식하며, 깊이가 깊어질수록 염분량이 증가하면서 서식 양이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 ...
가장 즐겨먹는 커피종 '아라비카' 기원 규명됐다
2024.04.21
통해 아라비카 종의 표준유전체를 만들고 39개 아라비카 품종과 18세기 커피 표본의 염기
서열
을 분석했다. 또 다양한 아라비카 품종의 유전체를 분석해 아라비카가 등장한 최초 시기를 확인했다. 분석결과 아라비카는 약 61만 년에서 100만 년 전 사이에 에티오피아 숲에서 코페아 카네포라와 ... ...
"한국인 유전체DB·데이터 분석장비 절실"…생물공학 차세대 연구자들의 '일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대해 희망적이라고 했다. 한성규 인하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AI를 기반으로 유전자
서열
데이터를 분석해 질병을 연구한다. 그의 논문은 2018년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한빛사)'에 실린 바 있다. 논문에서 질병 빅데이터 분석과 유전자 스위치의 진화 원리를 이용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결과 원종양유전자가 종양유전자로 바뀌며 결국 암세포가 된 것이다. 두 유전자는 염기
서열
이 꽤 비슷하고 그 뒤 발견된 NRAS(엔라스) 유전자와 함께 RAS(라스) 유전자로 불린다. 세포막 안쪽에 붙어있는 라스 단백질은 세포 성장과 분열 신호 경로에서 스위치 역할을 한다. 평소에는 꺼진(off) 상태로 ... ...
"평화주의자 보노보, 생각보다 공격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했다. 이는 공동체가 일반적으로 함께 지배하는 사회 구조를 보이고 암컷이 수컷보다
서열
이 높은 보노보 사회에서 예상되지 않았던 모습이다. 이번 발견은 침팬지에 비해 보노보가 진화 과정에서 공격성을 스스로 선택하지 않아 감소했다는 '자기 길들이기 가설'에 도전하는 결과라고 연구팀은 ... ...
알츠하이머 위험 절반 이상 낮추는 유전자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있을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APOE-e4 유전자를 가진 70세 이상 수백 명의 유전체 염기
서열
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APOE-e4 유전자가 있으면서도 치매 증상이 없는 사람들은 뇌혈관 내벽을 둘러싸고 뇌 안팎으로 물질이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혈액-뇌 장벽 구성 물질인 '피브로넥틴'을 만드는 ... ...
"성인 비만 위험 6배 높이는 희귀 유전자 변이 2개 발견"
연합뉴스
l
2024.04.05
을 실시했다. 전장엑솜분석은 게놈에서 단백질 정보가 담긴 엑손(Exon) 부분만 선별해 염기
서열
을 분석, 질병 등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를 탐색하는 방법이다. 그 결과 성인 6천500명 중 1명이 가지고 있는 BSN 유전자 변이가 비만 위험을 6배까지 높일 수 있고,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및 제2형 당뇨병 ... ...
염색체 말단 '텔로미어' 메커니즘 규명…"항암 치료 전략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치료 과정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염색체 말단에 존재하는 염기
서열
인 텔로미어가 유지되는 방식을 확인해 암의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새로운 환자 맞춤형 항암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는 이현숙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이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