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소
감소액
깎기
감축
에누리
할인
임금 인하
뉴스
"
삭감
"(으)로 총 32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종호 "조성경 차관 R&D 카르텔 발언은 정부 입장 아닌 개인 의견"
동아사이언스
l
2023.12.22
바 있는데 (여야의) 협의 과정에서 많이 전해진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Q. 내년도
삭감
된 예산을 갖고 연구를 지속해야 하는 연구자들에게 한 마디. "
삭감
비율이 대폭 낮아지기는 했지만 그럼에도 많은 연구자들은 마음이 불편하실 것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이런 것은 어떻게 보면 우리가 ... ...
내년 예산 1.6% 감소한 과기정통부…R&D예산은 14.7%
삭감
동아사이언스
l
2023.12.22
과학기술계 큰 반발이 일고 있는 연구개발(R&D) 예산은 14.7% 감소한 26조5000억원으로 큰
삭감
폭이 유지됐다. 과기정통부는 총 18조5625억원 규모의 과기정통부 ‘2024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이 21일 국회 본회의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국회 예산심의과정에서 당초 정부안 18조 289 ... ...
내년 R&D 예산 4.6조원
삭감
…기존 안에서 6000억원 '찔끔' 증액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이라며 "R&D 예산
삭감
의 후폭풍은 내년에 본격적으로 체감될 것"이라고 말했다. 예산
삭감
으로 지장을 받게 된 연구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면서 연구자들의 고충은 다양한 방식으로 발생할 것이란 우려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또 다른 연구자는 "많은 사업이 예정대로 진행되지 못함에 ... ...
조성경 "사용후핵원료, 매년 제목만 바꿔 연구 지속이 카르텔"
동아사이언스
l
2023.12.20
1차관이 과학기술계 연구개발(R&D) 카르텔의 예시를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예산
삭감
의 배경이 된 ‘카르텔 몰이’ 실체를 밝히라는 과학기술계와 국회의 요구에 정부 관계자가 직접적인 사례를 제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20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조 차관은 지난 12일 대전 유성구 ... ...
이종호 장관 "R&D 예산
삭감
과정서 책임질 일은 책임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12.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연구개발(R&D) 예산
삭감
과 관련해 과학자들과 소통이 충분하지 못했던 게 아쉽다"고 말했다. 18일 열린 간담회에서 이 장관은 또 "지난해부터 R&D 기획 관련 부서 ... ...
"젊은 과학자 멘토 역할 할 해외 과학자 유치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12.18
싶다는 요청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노 원장은 특히 최근 불거진 R&D 예산
삭감
논란 과정에서 IBS는 예외라는 이야기를 종종 듣는다. 국내 기초과학 연구비를 충분히 지원받아 연구비가 풍족하다는 것이다. 설립 초기부터 지속된 IBS를 향한 시각이다. 이와 관련 노 원장은 ... ...
"생계 문제로 한국 떠날까 고민…R&D예산
삭감
, 축적한 역량 무너져"
동아사이언스
l
2023.12.15
고민하게 된 상황이 슬프다"고 토로했다. 김예슬, 강주혁 학생연구원은 이번
삭감
안으로 "이공계로 진학하려는 중고등학생의 의지가 꺾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김 학생연구원은 "이공계에서도 의학 계열 진학 비율이 점점 더 높아지는 상황에서 과학자·공학자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 ...
“과학자는 장점 많은 직업...취미되면 즐거워져”
동아사이언스
l
2023.12.15
삶에 충실하면 인생이 즐거워지게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올해는 R&D 예산
삭감
논란으로, 연구자로서의 길을 계속 가야 할지 고민하는 젊은 과학자들이 늘어났다. 이처럼 시름하는 신진 연구자들에게 선배 과학자가 격려의 말을 전했다. 구본경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은 1 ... ...
'초고에너지' 우주선 관측 한국 연구팀, 공동연구 중단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3.12.14
연구는 소외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내년부터 연구개발(R&D) 예산이
삭감
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연구 과제에서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좀 더 고려돼야 한다"고 밝혔다. ... ...
“R&D 발전 최대 저해요인은 공무원의 지나친 개입”
동아사이언스
l
2023.12.12
D 현장 발전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소는 공무원의 통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R&D 예산
삭감
이후 부처와 국회 관계자들이 현장의 의견을 청취했지만 이같은 부분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강 국장은 “출연연의 연구 주권을 강화하기 위해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