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뉴스
"
멸종
"(으)로 총 862건 검색되었습니다.
꿀벌 대량 실종 못 막으면 전 세계 커피·초콜릿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4
북부 모요밤바의 커피 원두 농장. 게티이미지뱅크제공 지구온난화로 수분 매개 곤충이
멸종
하면 남아메리카 북부·동남아시아·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농산물 생산이 가장 큰 타격을 받게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런던 자연사박물관 생명과학부 연구팀은 수분을 매개하는 벌, 파리 ... ...
"4만8천년 전 동굴사자 갈비뼈에 구멍…네안데르탈인 사냥 증거"
연합뉴스
l
2023.10.13
제공 4만8천년 전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공존하다가
멸종
한 네안데르탈인이 맹수를 사냥하고 그 가죽을 이용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증거가 발견됐다. 독일 튀빙겐 에버하르트칼스대학 가브리엘 루소 박사팀은 13일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 ...
포경 규제로 늘어난 회색고래, 기후변화로 또 다시 감소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3.10.13
수십만 년간
멸종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방향으로 환경에 적응해왔다는 점에서 쉽게
멸종
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1980년대와 90년대 발생한 두 차례의 회색고래 폐사 사건에서도 회색고래는 수년간 빠르게 개체 수가 다시 늘어나는 결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환경이 개선되면 회색고래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 환경과 현대 인류를 잇는 열쇠 '고대 DNA'
동아사이언스
l
2023.10.08
밝혔다. 과거 생태계가 어떻게 구성됐는지 보여줬으며 오늘날 생태계에서
멸종
된 종과 개체군을 구분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주 사이언스는 고대 DNA 연구의 중요성과 동향을 소개하는 특별호로 구성됐다. 사이언스에 따르면 각 시대로부터 현대까지 이어져온 DNA와 그렇지 않은 DNA 구조를 ... ...
수백년간 꼬막에 퍼져있던 '전염성 암' 발견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03
짝짓기를 하는 과정에서 전염되는 이 암은 태즈매이니언 데블 개체 수를 90% 줄이며
멸종
위기에 처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번에 꼬막에서 발견된 암도 전염성이다. 연구팀은 유럽과 아프리카 북서부에서 채칩한 꼬막 6854미를 분석했다. 꼬막들의 전체 유전자를 확인한 결과 조개류 ... ...
잼버리 열렸던 '새만금'에 폭염·모기가 기승을 부린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9.30
사는 저서생물은 물론, 40여 종이 넘는
멸종
위기 동물들도 수라에 살고 있어요.
멸종
위기 종 중 하나인 저어새는 수라 갯벌에서 매년 150마리 넘게 매년 관찰되고 있습니다. 수십 마리의 검은머리갈매기와 10만 마리에 가까운 도요새 등도 발견됩니다. 이뿐만 아니라 삵, 너구리, 고라니 등의 ... ...
2억5000만년 후 '초대륙' 탄생…인류
멸종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26
교수 연구팀 '2억5000만년 후 지구는 포유류가 살기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으로 변모,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지구과학'에 2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판게아 울티마는 현재 지구에 존재하는 5대양 7대륙이 하나의 대륙으로 합쳐진 '초대륙'을 의미한다. 초기 ... ...
코로나19 초기 직격탄 이탈리아,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때문?
연합뉴스
l
2023.09.18
시점은 2020년 2월이며 봉쇄 조치는 3월 초에 시작됐다. 네안데르탈인은 4만년 전에
멸종
됐지만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의 혼종 교배 영향으로 유럽과 아시아계의 게놈 가운데 2% 정도가 네안데르탈인에게서 물려받은 유전자이다. 네안데르탈인 유전자와 코로나19 중증화 간 연관성은 지난해 ... ...
인류 식량 파수꾼 호박벌 실종, 이제 시작일 뿐
동아사이언스
l
2023.09.18
사라질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현재 제시하고 있는
멸종
위기종 분류가 실제 호박벌 종별 개체수 추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에서도 2022년 겨울에만 꿀벌 78만 마리가 집단 폐사하는 등 위기 상황이 보고되면서 지난 달 27일 기후 변화에 ... ...
'복제양 돌리'의 아버지 이언 윌멋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3.09.12
복제소 '영롱이'를 만들었다. 체세포 복제를 이용해 파킨슨병 등 난치병을 치료하거나,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을 되살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돌리 탄생 이후 윌멋 교수는 복제 기술을 활용한 줄기세포 연구에 몰두하며 새로운 질병 치료법을 찾는 데 힘썼다. 2012년 교수직에서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