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뉴스
"
멸종
"(으)로 총 862건 검색되었습니다.
단 2마리 남았다…북부흰코뿔소
멸종
막기 특명 '체외수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대리모 역할을 하도록 한 시도는 없었지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코뿔소
멸종
원인이 사람에게 있는 만큼 과학기술을 이용해 구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 ...
"사상 최대 고대 상어 메갈로돈, 더 날씬하고 더 길었다"
연합뉴스
l
2024.01.22
될 것"이라며 "이제 새로운 체형을 토대로 메갈로돈이 실제로 어떻게 생활했는지, 왜
멸종
했는지 다시 조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출처 : Palaeontologia Electronica, Phillip Sternes et al., 'White shark comparison reveals a slender body for the extinct megatooth shark, Otodus megalodon (Lamniformes: Otodontidae), https://doi.org/10.26879/134 ... ...
[표지로 읽는 과학] 키 3m 거대 영장류, 왜
멸종
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1.20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개체 수가 줄어들었고 결국
멸종
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현존하는 영장류의 생사를 이해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 ...
거대 유인원
멸종
한 이유…친척들과 달리 환경 적응 실패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흔적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기간토피테쿠스 블래키의
멸종
원인이 당시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과제로는 실제 기간토피테쿠스 블래키의 실제 외형을 복원하는 것을 꼽았다. 기간토피테쿠스 블래키가 살았던 당시 지구의 환경을 ... ...
[헷갈린 과학] 양서류? 파충류?…도룡뇽 vs 도마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06
줄었다”고 설명했죠. 제니퍼 루츠케 연구원은 “숲을 보호해 다른 척추동물보다
멸종
에 더 취약한 양서류를 보존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도마뱀. 국립생물자원관(이정현) 제공 ● 도마뱀 도마뱀은 뱀과 거북처럼 땅에서 생활하는 파충류입니다. 피부로도 숨 쉬는 도롱뇽과는 달리 ... ...
극지 덮친 조류독감에 북극곰도 감염돼 폐사…세계 첫 사례
동아사이언스
l
2024.01.03
것은 이번이 세계 첫 사례"라고 말했다. 북극곰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지정한
멸종
위기종 적색목록에 올라있는 종인만큼 조류인플루엔자 감염을 서둘러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북극곰이 인적이 드문 외딴 곳에 서식하는 경향이 있는만큼 아직 발견되지 않은 폐사 사례가 더 ... ...
상온 초전도체 LK-99 논란…영국 과학자들이 꼽은 올해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3.12.25
야생동물의 급격한 감소 제초제와 살충제의 남용이 불러일으킨 야생동물의
멸종
은 기후변화와 함께 중요한 환경 문제로 지목됐다. 프랑스 몽펠리에대 연구진 등으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이 9월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 40년 동안 유럽 전역의 새들은 개체수가 5억500 ... ...
유전자교정 바이러스로 바이러스 무력화, 가능성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17
죽이게 하거나 불임 상태로 만드는 게 목표였다. 그러나 유전자 드라이브는 종 전체를
멸종
시킬 수 있다는 점, 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다는 점 등이 한계로 제기됐다. 바이러스는 감염된 세포에게 유전자를 해석해 새로운 바이러스를 생성하도록 명령하는 방식으로 스스로를 복제해 증식한다. HSV ... ...
네이처가 올해 10인에 챗GPT 꼽았다…'비인간'으로는 최초
동아사이언스
l
2023.12.14
일본 오사카대 발달생물학 박사도 이름을 올렸다. 수컷 쥐 세포를 이용한 연구 성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다.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LLNL) 핵융합 연구시설 '국립 점화 시설(NIF)'의 물리학자 애니 크리처 박사도 10인에 선정됐다. NIF ... ...
"모기 진화 초기엔 수컷도 피 빨았다…백악기 화석 발견"
연합뉴스
l
2023.12.05
피를 빨았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들 화석은 새로운
멸종
모기 아과(亞科. subfamily)에 속하는 오래된 혈통 중 하나로 수컷이면서도 잘 발달한 이빨과 흡혈에 적합한 입천장을 구조를 가졌다며 현대 모기는 암컷만 흡혈한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발견이라고 말했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