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실
분실
loss
roast
ross
rosse
뉴스
"
로스
"(으)로 총 33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기원 보고서 결론 부실 비판 의식했나…WHO "후속 평가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1.04.02
기원과 관련해) 여전히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테워드
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이 1일(현지시간) 화상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 기원 조사와 관련한 후속 작업이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WHO 기자회견 유튜브 캡처 ... ...
마룻바닥서 전기에너지 생산…'압전 나노 발전기' 개발
연합뉴스
l
2021.03.16
백색부후(腐朽) 곰팡이인 '잔나비불로초'(Ganoderma applanatum)가 리그닌과 헤미셀룰
로스
를 분해해 친환경적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압전" 나무를 생체 센서나 발전 마룻바닥으로 실용화하는데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지만 간단하면서도 재생 가능하며, 생분해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에는 생체시계 네트워크가 있다
2021.03.02
뒤 다른 생체시계 유전자들이 속속 발견되면서 핵심부품이 규명됐다. 그 결과 2017년 홀과
로스
바쉬, 영은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참고로 벤저는 2007년, 코놉카는 2015년 사망했다. 지난 50년 동안 생체시계 분야가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생체시계가 건강과 질병에 미치는 심대한 영향이 드러나고 ... ...
“코로나 D614G 변이 감염력 최대 7.7배” 변이 바이러스 감염력 공통적으로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D614G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력이 높다는 연구는 작년부터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미국
로스
앨러모스국립연구소 연구팀은 지난해 8월 D614G 변이 바이러스가 퍼지는 양상을 국가, 지역별로 분석해 기존 바이러스보다 감염력이 빠르다고 분석한 연구를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고, 미국 노스캐롤리나대 ... ...
美 코로나 최고 책임자 파우치 소장 “코로나 백신 안 아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2
돼 영광”이라며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이 담긴 탈퇴 철회 관련 서한이 테워드
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에게 전달됐고, 미국의 재정적 지원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0~2021년 2년간 WHO의 예산은 48억4000만 달러(약 5조3380억 원)다. 미국은 WHO 연간 예산의 15%를 지원금으로 ... ...
"WHO·중국, 코로나19 발생 초기 대처 느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9
테드
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AP/연합뉴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발생 초기 세계보건기구(WHO)와 중국의 조치가 느렸다는 지적이 나왔다. 18일(현지시간) AFP 통신에 따르면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준비 및 대응을 위한 독립적 ... ...
WHO 국제조사팀,14일 중국 방문 예정…코로나19 기원 이번엔 밝히나
2021.01.12
우한을 방문하지 않고 베이징에만 머물렀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일었다. 테워드
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기원을 밝히러 간 조사팀이 정작 코로나19가 처음 발병한 것으로 추정되는 우한에 방문하지 않았다는 점이 밝혀지자 "해당 조사는 후속 조사팀을 파견하기 위한 사전 ... ...
[표지로 읽는 과학]1년, 10편의 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20.12.26
바이러스학자 곤잘라 모라토리오(왼쪽부터 차례대로). 네이처 홈페이지 캡처 ○테워드
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세상에 보내는 경고 2017년 7월부터 WHO 사무총장을 맡았다. 올해 4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중국의 코로나19 사태에 WHO가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따라 지원금을 중단하겠는 ... ...
"43만년 전 인간도 혹한기 버티려 겨울잠 잤다"
연합뉴스
l
2020.12.21
나왔다. 연구팀에 따르면 스페인 아타푸에르카 산맥의 선사시대 동굴유적인 '시마 데
로스
우에소스'(Sima de los Huesos)에서 발굴된 고인류 화석에서 겨울잠을 자는 동물에게서 나타나는 병변이 발견됐다고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페인어로 '뼈 무덤'이라는 이름이 ... ...
인간도 곰처럼 겨울잠 잤을까
2020.12.21
유사한 흔적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1990년 중반 스페인 북부 시마 데
로스
우에소스 동굴에서 발견된 뼛조각 수천 개를 분석했다. 이들 뼛조각은 모두 28명의 유골로 분석됐는데 '시마인'이라고도 불리는 이들은 유전자 감식 결과 약 43만 년 전 살던 고인류로 네안데르탈인의 직계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