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백성"(으)로 총 1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관오리포스팅 l20180617
- 신찬후입니다.저는 오늘 탐관오리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위의 사진과 같이 백성들은 탐관오리 때문에 세금에게 시달렸습니다.저는 옛날의 억울한 인생을 학교에서 체험해봤습니다.선생님께서 ppt와 학습지를 만들었습니다.ppt에 나오는 돈을 받기도 하고 탐관오리 때문에잃기도 하였습니다. 정말 세금으로 돈이 깎이니까 짜증나더라고요.욕을 쓸 번 했어요! ...
-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의 생가, 오죽헌기사 l20180401
- 이이는 3년 동안 신사임당의 묘 앞에서 움막을 짓고 살았습니다. 이이는 장원에 급제한 후 어느 해 봄에 큰 흉년이 들자, 이이는 백성들이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을 연구하여 '사창제도'를 주장했습니다. 사창제도란 가을에 곡식일 모아 두었다가 봄에 곡식을 나누어 주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이이는 10년 안에 적이 쳐들어 올 것을 예상하고 십만 ...
- 영월에서...단종에 대하여기사 l20180225
- 나고 말았고, 단종은 객사 관풍헌으로 옮겨갑니다. 그곳에서 지내다 단종은 17살의 나이에 돌아가십니다. 많은 설들이 있는데요, 1. 백성들이 보는 게 고통스러워 스스로 목숨을 끊음. 2. 지나가던 하인이 단종을 목졸라 죽였는데 선왕이 천민에게 죽었다고 실록에 쓰지 못해 사약을 받았다고 밝힘. 3. 태조가 자객을 보내 죽임. 4. 사약을 받아 죽 ...
- 암행어사에 상징은 마패가 아니다?기사 l20180225
- 조선 시대에 임금이 친히 뽑은 임시 벼슬로 , 수의 또는 직지라고도 불렸습니다. 비밀리에 지방을 돌아보며 지방관의 잘잘못을 가리고 백성의 고통과 불편을 살펴 임금에게 보고했습니다. 조선 초기에는 반대가 있어 잘 시행되지 못하다가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을 겪으며 사회가 혼란스러워지자 자주 파견되었습니다. 이제 암해어사에 대해 조금 아시겠나요? ...
- 최초의 여왕 군주 선덕여왕과 관련된 설화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180111
- 불이 나 그 마을을 홀딱 태워버렸다는 이야기가 설화로 전해집니다. 그 일이 있고 나서 경주에는 크고 작은 화재가 자주 일어나 백성들이 큰 피해를 입었고, 이에 선덕여왕은 아래와 같은 시를 짓게 됩니다. “지귀는 마음에 불이 일어 몸을 태우고 화신이 되었네. 푸른 바다 밖 멀리 흘러갔으니 보지도 말고 가까이하지도 말지어다.” 이 시를 적어 경주 ...
- 세계 여러 나라의 춤들에 대하여 알아보자!기사 l20171210
- 삶을 살았기 때문에 백성들은 양반이 얼마나 미웠을까요? 그래서 백성들은 그런 양반들을 탈춤으로 놀리며 한바탕 웃었지요. 탈춤은 백성들의 비참한 삶을 위로해 주는 유일한 수단이었습니다. 2. 압사라 춤압사라 춤은 캄보디아의 춤입니다. 압사라 춤은 압사라들이 추는 춤인데, 여기서 '압사라' 는 춤추는 여신 이라는 뜻입니다. ...
- 이순신 장군님 일생기사 l20170824
- 높이 인정받아 영의정 벼슬을 받았어요. 유성 예정이라는데 이순신은 죽은 지 200년 만에 같은 벼슬이 된 거예요. 자신보다 나라와 백성을 걱정했던 이순신장군 그의 충성심은 역사에 길이 빛날 것 입니다. 자식:이회,이열,이면 부모님:아버지 이남,어머니 변씨 이어지는 뿌리:덕산 ... ...
- 아름다운 DMZ 철원으로 떠나다!!기사 l20170810
- 협곡에 홀로 서있어 고석정이라고 합니다. 이곳에서는 의적 '임꺽정'이 부정부패한 탐관오리들의 재물들을 훔쳐 가난한 백성들에게 나눠주었다가 의병들을 피해 거주했던 곳이기도 지만 임꺽정은 고석정 윗부분에있는 동굴에서 거주 하던 중 결국 붙잡혀 처형당합니다. (윗 사진 참고) 다음으로 '승일교'에 대한 것인데요 이때 '승일교'란? 이승만 대통 ...
- 훈민정음,한글 제대로 알고 있을까?기사 l20170406
- 훈민정음은 1443년 12월말에 창제되어 1446년 9월에 반포되었습니다.훈민정음은 사람과 하늘, 땅을 본떠 만들었습니다.그 결과 백성들은 쉽게 글을 배워 농사 비법도 나누고 쉽게 대화하고 편지를 쓸 수 있었습니다. 원래 훈민정음은 28 글자 였습니다.하지만ㆍ, ㆁ, ㆆ, ㅿ 이 4글자가 너무 어렵고 배우기 힘들어서 빠졌습니다. 그래서 지 ...
- 세종대왕님의 업적기사 l20170404
- 천문의기로 가장 널리 쓰이던 해시계입니다. 세종 23년 측우기를 세우고 수표를 세움 세종 25년 훈민정음 창제 한자를 모르는 백성들을 위해 누구나 쉽기 익히고 쓸 수 있도록 만들어진 새로운 문자, 고유의 문자가 훈민정음입니다. 세종 30년 동국정운을 간행함 한자음을 우리글로 나타낸 간행물입니다. 1450년 세종 32년 54세의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