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찾지 못하고 일정한 형태를 가진 소수를 깊게 연구한다. 연구 과정에서 n이 1보다
큰
자연수일 때 Mn = 2n - 1인 수에 소수가 유독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형태의 수를 훗날 ‘메르센 수’라고 부른다. 먼저 메르센은 2n - 1 이 모두 소수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무작위로 골랐을 때 비슷한 ... ...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 페르마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친구들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자신의 발견을 알렸다. 그런 짤막한 내용이 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페르마의 아들이 아버지가 남긴 편지와 쪽지를 모아 1679년에 책을 만든 덕분에 그의 업적이 오늘날까지 전해질 수 있었다. 문제는 페르마가 종이에 남긴 추측을 증명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 ...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것이 리만 기하학의 시작이다. 리만 기하학은 물리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독일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성이론을 만들면서 기존의 기하학으로 시공간의 휘어짐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스위스 수학자인 마르셀 그로스만의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리만 가설은 소수의 개수가 대략 몇 개인지 알려주는 함수다. RSA 암호의 핵심은 엄청
큰
수를 소인수분해 하는 게 어렵다는 걸 이용한 것이므로, 리만 가설과 직접 관련이 없다. 설령 소수를 전부 찾을 수 있어도 소인수분해는 다른 문제다. 물론 리만 가설이 풀리면 증명 과정에서 나오는 다양한 ... ...
수학자 이름 새긴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주요 질문이었다. 먼저 피타고라스 소수는 4로 나누면 항상 나머지가 1이다. 또 k가 1보다
큰
자연수일 때 페르마 수 Fk=22k + 1은 항상 피타고라스 소수이거나 이들을 소인수로 갖는다. 에우클레이데스가 소수가 무한함을 보인 방식으로 피타고라스 소수가 무한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이처럼 어떤 ... ...
[과학뉴스] ‘뻥!’ 샴페인 터지는 소리 물리학적 비밀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드는 모습을 본 적 있는가. 마구 흔들어 기포가 올라온 샴페인을 여는 순간 ‘뻥!’하는
큰
소리가 난다. 이 경쾌한 소리의 비밀을 2023년 12월 19일 루카스 바그너 오스트리아 빈공대 유체역학 및 열전달 연구소 연구원팀이 밝혀냈다. doi: 10.1017/flo.2023.xxx 연구팀은 샴페인을 여는 순간을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조재훈 고스트로보틱스 테크놀로지 기획관리팀 과장은 “오늘날의 4족보행 로봇들은
큰
틀에서 형태와 기능이 대부분 같다”면서 “저희 로봇은 경쟁사 제품에 비해 야외 활동에 특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성욱 고스트로보틱스 테크놀로지 로봇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방수, 방진 등급이 높아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꾸준히 분석해 온 과학자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프로젝트가 지구에서 뇌가 가장
큰
향고래(향유고래)와의 대화를 꿈꾸는 미국의 CETI(Cetacean Translation Initiative)입니다. 향고래는 모스 부호와 비슷한 ‘코다’라는 음성 신호를 사용합니다. 또한, 향고래는 고래 생물학자 셰인 게로의 연구를 통해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포자랩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AI챗GPT가 승승장구하면서 생성 인공지능(AI)의 상용화를 이끈 오픈AI는 일면
큰
위기에 봉착했다. GPT-4를 학습시킬 때 사용한 막대한 데이터의 저작권을 고려하지 않은 탓이다. 최근 미국 뉴욕타임스, 캘리포니아주가 오픈AI에게 저작권 소송을 제기했다. 해당 소송에 대해 오픈AI는 ‘생성 AI 모델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모델이 정확하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이 논문에 따르면 혹등고래의 지느러미는 더
큰
받음각에서도 양력계수의 변동이 크지 않습니다. 최대 양력의 크기는 돌기 없는 지느러미보다 다소 적었지만, 돌기 없는 지느러미가 양력을 일으키기 어려운 크기까지 포함한 훨씬 넓은 영역의 받음각에서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