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마리 퀴리가 쏘아올린 현대 과학의 작은 원소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그들이 발견한 자연 방사능 원소 2개인 폴로늄과 라듐 정도로만 짧게 기억될 뿐이다. 조금 더 설명을 붙인다면 방사능과 그 개념 정도일 듯하다.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 부부는 폴로늄을 발견한 1898년의 논문으로 앙리 베크렐과 1903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또 마리 퀴리는 라듐을 ... ...
- [메타버스 여행법] 템플릿으로 손쉽게 나만의 아이템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 디자인 콘셉트에 맞는 도구 선택하기 어떤 디자인을 할 것인가에 따라 사용할 도구도 조금씩 달라집니다. 만약 직접 그린 그림이나 무늬, 손으로 쓴 글자를 디자인에 활용하고 싶다면 컴퓨터에 있는 ‘그림판’ 프로그램을 사용해도 좋아요. 앱을 이용해 아이템 디자인을 할 수도 있어요. 저는 ... ...
- [특별기고] 수학적 사고력 고루 평가하는 수능 되길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수능이 ‘수학적 사고력’을 고루 평가할 수 없게 해요. 수학적 사고력은 수학 영역 별로 조금씩 달라요. 대수 영역에서의 수학적 사고와 해석, 기하, 확률과 통계 각각의 영역에서 발현되는 수학적 사고가 다르거든요. 그런데 현재까지 발표된 수능 체제 개편안에는 대수, 미적분1, 확률과 통계만 ... ...
- [Space Math] 우주를 향한 인류의 호기심이 현실이 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먼저인가 아니면 실리적인 사업이 먼저인가 하는 논쟁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는데, 조금 더 큰 틀에서 보면 다소 의미 없는 것이기도 하다. 명예를 얻고 돈을 벌기 위한 노력의 과정에서 위대한 학문적 발전이 이뤄진 사례는 수없이 많다. 반면 지적 호기심 자체에 몰두해 평생을 가난에 시달리며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로봇을 의미한다. 로봇은 물건을 쉽게 집지 못한다. 물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강도(조금만 세게 쥐어도 깨지는 계란부터 단단한 바위까지)와 촉감(미끄러운 젤리부터 거친 고무까지)을 가지고 있어, 여러 물건을 제대로 집으려면 힘과 움직임을 섬세하게 조절해야 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거미의 ... ...
-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과학적인 원리가 크게 다르지 않을 거예요. 대신 광합성을 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조금 덜 익숙하겠죠. 지구의 생명체는 뜨겁고 화학적으로 원소가 풍부한 물이 솟아오르는 심해열수구에서 시작됐을 거라 추정됩니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여러 얼음 위성의 안쪽에 지구의 심해와 비슷한 ... ...
- 정부 발표부터 9월 모의평가 결과 분석까지, 킬러문항 논란 일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1. 교육부 “학교서 다루지 않은 내용, 수능 출제에서 배제해야” 수능을 불과 150여 일 앞둔 시점, 사실상 수능 출제의 가이드라인이 제시돼요. 6월 15일 윤석열 대통령 ... 의미인데요. 킬러문항이 사라질 수 없는 근본적인 이유가 여기 있어요. 지금부터 조금 더 깊이 들어가 알아볼게요 ... ...
- [일타수맨스] “수학 강의로 감동을 주고 싶어요” 손승연의 인기 비결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부분도 토의했어요. Q. 앞으로의 목표가 궁금합니다. 단기적으로는 저 덕분에 수학이 조금이라도 재밌게 느껴졌다고 하는 학생이 많아지는 거예요. 장기적으로는 수학을 재밌게 가르치는 학교를 세우고 싶습니다 ... ...
- [Mathematician] 질병 분석부터 지하철 혼잡도 개선까지 삶의 문제 해결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연구 결과가 독자들에게 잘못된 메시지로 전달될까 봐 조금 우려돼서 되도록 언급하지 않았으면 해요. 그 연구는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과거의 사건이 일어난 이유를 분석한 것이었어요. 의미 있는 결과였지만, 연구에 쓰인 방법을 이용한다고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 ... ...
- [킹앤포] 수학으로 암호 해독! 차분 공격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멘토는 고등학생 때 인터넷 홈페이지의 코드를 따라 써보고 코드를 조금씩 수정하면서 여가 시간을 보냈어요. 그러다 한 홈페이지에서 코드 버그를 발견했고, 그 버그를 수정하면서 자연스럽게 암호학에 빠져들었답니다. 그래서이번 호에서는 수학과 코딩을 좋아하는 여러분을 위해 권찬우 멘토가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