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동"(으)로 총 2,3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작심삼일의 심리학] 보인다… 미래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식으로 나만의 루틴을 만들어두는 거죠. 습관이 생기면 큰 의지를 발휘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행동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자기통제력이 뛰어난 사람들의 비결은 결국 좋은 습관들을 가진 것이라는 연구가 여럿 있었어요. 습관을 만드는 건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 설정, 그리고 반복이란 걸 명심하세요 ... ...
- [THE JAMES DYSON AWARD] 세상을 바꿀 젊은 발명가들의 이야기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응급 현장의 변화는?리액트의 가장 큰 장점은 적용 방법이 단순하고 팽창 절차를 자동화했다는 것이다. 구급대원들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개선점들을 제시했다. 리액트를 사용하면 1분 내로 출혈을 멈출 수 있다. 한시가 급한 흉기 난동 피해자를 살려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Q. 앞으로 남은 ... ...
- 과학자가 만든 일품요리 집에서 즐기세요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연동되는 포장이 있습니다. 밀키트나 가정간편식 포장지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캔하면 자동으로 조리 온도와 시간이 설정됩니다. 간단한 조리만으로도 먹을 수 있는 게 HMR이라지만,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는 일종의 포장지 속의 셰프인 셈입니다.HMR에는 이외에도 많은 기술이 ... ...
- 우주 유망 직종 TOP4 짚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뒤 위성에 연료를 공급했습니다. 노스럽 그루먼은 고장 난 위성을 수리하는 ‘임무 자동화 위성(MRV)’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03 참신한 아이디어로 새로운 시장 만든다 드넓은 우주는 창업자들에게 무한한 상상력을 제공하는 공간입니다. 우주가 준 영감은 새로운 사업 아이디어로 탄생하기도 ... ...
- [논문탐독] 데이터 쪼개고 합쳐 구축한 스마트팩토리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구축한다는 것은 단순히 사람이 해야 하는 작업을 대체하는 데 국한된 것이 아닙니다. 자동화의 결과물이 사람의 작업 결과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뛰어나야 산업적으로 의미가 있습니다. SVM 분류기가 보여 준 99.26%의 정확도는 실제 사람이 공정에서 눈으로 보고 불량을 탐지하는 것과 비슷한 ... ...
- [해외취재➋] 나쁜 동물원이 문 닫으면 동물은 어디로 가나요? 집 잃은 동물의 집,생추어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다른 야생동물도 구조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곰을 돌보는 활동이 마무리되는 3시쯤, 자동급식기 설치에 성공했습니다. 입이 짧아 살이 충분히 찌지 못한 유팔(U8)이를 위한 거지요. 원래 곰은 야생에서 하루종일 먹지만, 유팔이는 사람이 주는 몇 시간만 먹이를 먹어왔습니다. 활동가들은 유팔이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손으로 돌리는 팽이는 가라 이제는 건전지로 돌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수표에 인쇄된 숫자와 글자의 형태를 판별하고 판독할 수 있지요. 이를 응용해 현금자동입출금기는 자성잉크로 지폐의 위조 여부를 판독할 수 있으며, 나아가 지폐의 크기와 두께, 재질 및 투명도 등도 이용해 더욱 정확히 지폐가 진짜인지 가짜인지 판독하지요. 이번 실험을 직접 해본 뒤 실험 ... ...
- [통합과학 교과서] 우주여행을 떠나는 꿀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소재를 사용해 각 관절을 구부릴 수 있도록 설계됐어요. 또, 우주인의 체형에 관계없이 자동으로 생존 시스템을 조절할 수 있어요. 우주복을 개발하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려요. 가장 적합한 재료를 찾아내야 하고, 개발된 우주복이 적합한 지 시험도 해야 해요. 그런데 코로나19로 인해 NASA의 ... ...
- [이달의 과학사] 1947년 9월 9일 그레이스 호퍼, 최초로 컴퓨터 버그를 잡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그레이스 호퍼가 1947년에 함께 설계하고 프로그래밍한 컴퓨터였어요. 세계 최초의 전기 자동 계산기인 ‘마크 I’을 개선해 만든 것으로, 당시 미국 해군이 포탄의 비행 방향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었죠.오후 3시 45분, 마크 II가 멈춘 이유를 찾던 그레이스 호퍼 팀은 기계 장치 사이에 끼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지구를 지키는 똑똑한 방법! 꿀벌한테 배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집단의 꿀벌들이 벌집을 짓는 과정을 관찰하고, 꿀벌이 만든 벌집 속 1만 2000여 개의 방을 자동 이미지 분석 기술로 하나하나 측정했어요. 이후, 꿀벌이 각기 다른 벌집을 합치기 위해 어떻게 공간을 만들어 가는지 컴퓨터 모델로 만들어 분석했지요. 그 결과, 벌들은 각각의 벌집을 이어붙일 때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