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받음각이 계속 커지면 유체는 더 이상 지느러미 표면에서 흐르지 못하고 분리되기 시작합니다. 이 분리된 흐름이 어지러운 유체 흐름, 즉 난류가 되고 난류는 양력을 만들지 못합니다. 흐름이 분리되는 이러한 유동 박리(Flow separation) 현상이 실속의 원인입니다. 따라서 실속을 막으려면 주변 ... ...
                            
                                                              
- [가상 인터뷰] 국내 최초 물리탐사 연구선 ‘탐해 2호’ 퇴역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동해 울릉분지 남서부 해역에서 미래 에너지원으로 꼽히는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찾기 시작했어. 그리고 마침내 2007년,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실물을 채취했단다!  이뿐 아니라 탐해 2호는 바다 아래 석유 자원이 있는지 조사하는 데도 큰 역할을 했어.  독도도 탐사했다던데 ...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지구사랑탐사대의 새로운 리더 등장! 자연과인간 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심화 활동 참여 기회 등을 얻는다”고 설명했어요. 조윤성 대원은 “12기 활동이 시작되면 민물고기와 수생식물 교육에 꼭 참여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12기 목표도 당연히 전종 수료이고, 관찰 기록도 더 많이 올리겠다”고 각오했답니다.    Q. 지구사랑탐사대에서 만난 다른 대원들과 ... ...
                            
                                                              
- 소수교가 소수를 즐기는 방법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학생 모바일 메신저 채팅방은 ‘오늘은 소수데이입니다’라는 메시지로 하루의 대화를 시작한다. 왜냐하면 여기선 11월 29일(1129)처럼 날짜가 소수인 소수데이에만 이야기를 나눌 수 있기 때문이다. 메시지를 읽었다고 표시할 때도, ‘네’, ‘응’이 아니라 ‘2!’, ‘5’ 같이 소수로 답한다.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미국 센트럴미주리대학교 교수다.  그는 2005년 43번째 메르센 소수 230402457-1을 찾은 것을 시작으로, 2006년 44번째, 2013년 48번째, 2016년 49번째(추정) 메르센 소수를 찾았다. 센트럴미주리대 다수의 실험실 컴퓨터에 Prime95를 깔고 꾸준히 작동시켜 왔고, 그중 한 대가 메르센 소수들을 찾은 것이다 ... ...
                            
                                                              
-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때의 값은 모두 0이라고 밝혔다.  고로 리만 가설이 참이라 증명되면, 가우스에서 시작된 소수 개수를 추측하는 방법이 증명되고, 소수의 비밀이 하나 벗겨지는 것이다.   하지만 리만은 불과 3개의 영점만 일직선 위에 있다는 것을 밝혔다. 왜냐하면 그는 소수의 개수를 알 수 있는 식을 설명하는 ... ...
                            
                                                              
- [Chapter4] 악마, 불법, 나선 … 별별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있다. 수학자의 소수를 향한 절절한 사랑이 느껴지는 별별 이름의 소수를 소개한다.  그 시작은 소수계의 슈퍼스타 ‘쌍둥이 소수’다. 쌍둥이 소수는 소수만 쭉 나열했을 때, 간격이 딱 2 차이 나는 소수 쌍을 말한다. (3, 5), (5, 7), (11, 13)을 쌍둥이 소수라고 한다. 소수를 p라고 하면 (p, p+2)라고 할 수 ...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꿈꿨기 때문이다. 2013년 여름, 캐나다 수학연구기관(CRM)에서 첫 박사후연구원 생활을 시작했다. 그 시기에 해석적 정수론 분야의 뛰어난 수학자와 연구원이 이 지역에 몰려 있었는데, 이것이 그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저명한 수학자에게서 통찰력과 배움의 기회를 얻은 것이다. 대표적으로 그랜빌 ... ...
                            
                                                              
- 수학자 이름 새긴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수열의 항 중 소수를 가리키는 ‘피보나치 소수’도 있다. 피보나치 수열은 1과 1로 시작하고, 앞의 두 수의 합이 바로 뒤의 수가 되는 수열이다. 피보나치 수열을 나열하면 아래와 같다. 아래 수를 ‘피보나치 수’라고 한다.  피보나치 소수 또한 무한할 것으로 추측하지만 증명되지는 않았다.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있기 때문이다. 생성 AI가 모든 일을, 인간만큼 잘 하게 되자 폭발적인 속도로 상용화되기 시작한 것처럼. 우리에게 친숙한 로봇 상용화 사례를 떠올려보자. 음식점의 서빙 로봇은 서빙만 한다. 바리스타 로봇은 커피만 만든다. 공장 조립 라인에 있는 산업용 로봇은 조립만 잘한다. 서빙 로봇을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