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15m 망원경을 더해서 최대 150km 크기의 망원경 분해능을 얻도록 설계됐고 2021년 건설이 시작됐다. SKA mid는 2029년 완공을 목표로 본격적인 현장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 우주 속 시계가 될1000개의 펄사 2030년 완성될 SKA는 우리은하 내 약 1만 개 이상의 모든 펄사와, 그중 정확한 시계 역할을 할 수 ...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2025년 초쯤 실험을 위한 연구계획서를 완성하고 심사를 받아 승인되면 본격적으로 시작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한 시간 반가량 진행된 지하실험실 투어를 마치고 독자들은 벅찬 표정을 지었다. 노푸름 독자는 “지하 1000m로 내려가니 귀가 먹먹하고 숨이 답답한 신체적 증상들이 있었는데, ...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꿈꿨기 때문이다. 2013년 여름, 캐나다 수학연구기관(CRM)에서 첫 박사후연구원 생활을 시작했다. 그 시기에 해석적 정수론 분야의 뛰어난 수학자와 연구원이 이 지역에 몰려 있었는데, 이것이 그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저명한 수학자에게서 통찰력과 배움의 기회를 얻은 것이다. 대표적으로 그랜빌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있기 때문이다. 생성 AI가 모든 일을, 인간만큼 잘 하게 되자 폭발적인 속도로 상용화되기 시작한 것처럼. 우리에게 친숙한 로봇 상용화 사례를 떠올려보자. 음식점의 서빙 로봇은 서빙만 한다. 바리스타 로봇은 커피만 만든다. 공장 조립 라인에 있는 산업용 로봇은 조립만 잘한다. 서빙 로봇을 ...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찾고 있다. 아직 갈 길은 멀다. 김 책임연구원은 “로봇 작업 모델을 통합하려는 시도는 시작단계”라며 “상용화에 도달한 AI와 비슷한 수준으로 가기 위해선 더 높은 임무 수행률과 외부 실세계와 보다 정확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로봇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확인했습니다. 이 시기 지구엔 초대륙 곤드와나가 있었습니다. 이번 다이아몬드 여행도 시작부터 다이내믹합니다. 판과 판이 충돌해 초대륙이 만들어지는 순간부터 출발하기 때문입니다. 해양지각은 대륙지각 밑으로 섭입합니다. 초심층 다이아몬드는 곤드와나가 남극과 부딪치고, 남극이 섭입될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프렌들리 AI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손님 6명이 탈 수 있다고 가정하자. 첫 운행 때 4명의 손님이 탑승한 후 회전목마 운전은 시작됐고, 곧이어 또 다른 손님이 왔다. 아쉽게 한발 늦은 손님은 운행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문제는 5바퀴 돌 때쯤 그만 타고 싶은 손님이 생기는 경우다. 이런 상황에서 놀이기구 사장이 돈을 벌기 ...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받음각이 계속 커지면 유체는 더 이상 지느러미 표면에서 흐르지 못하고 분리되기 시작합니다. 이 분리된 흐름이 어지러운 유체 흐름, 즉 난류가 되고 난류는 양력을 만들지 못합니다. 흐름이 분리되는 이러한 유동 박리(Flow separation) 현상이 실속의 원인입니다. 따라서 실속을 막으려면 주변 ... ...
- [이달의 책] \네오알키미스트: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는 과학적 원리 외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독자들이 눈치챘듯 네오알키미스트는 2023년 상반기에 연재된 ‘초(超)재료’에서 시작했다. 저자는 당시 지면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다양한 물질을 관통하는 근본 원리부터 이 원리로 새로 개발되는 신물질의 연구 현장까지, 물질이 만드는 현대 과학의 가장 다채로운 영역을 보여준다. 2023년 ... ...
- [가상 인터뷰] 국내 최초 물리탐사 연구선 ‘탐해 2호’ 퇴역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동해 울릉분지 남서부 해역에서 미래 에너지원으로 꼽히는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찾기 시작했어. 그리고 마침내 2007년,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실물을 채취했단다! 이뿐 아니라 탐해 2호는 바다 아래 석유 자원이 있는지 조사하는 데도 큰 역할을 했어. 독도도 탐사했다던데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