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확언
언명
명언
정언
단정
바른말
확신
d라이브러리
"
단언
"(으)로 총 205건 검색되었습니다.
돌리의 생체시계는 몇 시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가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길이의 변화가 반드시 몸 전체를 노화시키는 원인이라고
단언
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더욱이 이박사의 실험 대상은 생쥐였기 때문에 돌리와 같은 양의 경우에도 그런 결과가 나올지 확언할 수 없는게 사실이다.돌리가 과연 동갑들에 비해 늙었는지 알 수 있으려면 좀더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이들은 확실한 증거나 논거 없이 우리 인간이 우주 내에 지능을 갖춘 유일한 생명체라고
단언
하는 것을 자주 듣는다. 이 주장은 과연 타당성이 있을까? 우주에 대한 인류의 관점이 변화돼 온 것을 보면 이는 그렇게 옳은 주장 같지 않다. 그리스 사람들은 그리스가 지구의 중심이라고 생각했지만 ... ...
④ 쥐 정소에서 사람 정자 성숙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대한 높은 안정성과 효율성을 보장하며, 태아에 대해 어떤 위험도 주지 않는다”고
단언
했다. 마치 시험관에서 미성숙한 난자를 성숙시키는 것처럼, 미성숙한 정자를 ‘쥐 정소 세포’라는 인큐베이터에서 키웠을 뿐이라는 의미다. 따라서 이번에 태어난 아기들은 ‘쥐 인간’이 아니라 그냥 인간일 ... ...
1. 한국인은 노벨상에 도전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있는 30대 연령층의 3세대. 하지만 이들이 40대에 어떤 성과를 낼 수 있을지 현 단계에서
단언
하기 어렵다.돌파구는 어디일까. 고등과학원은 기초과학 중 '장래가 가장 밝고 사람이 있는' 분야를 선별해 중점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국내에 사람이 없다면 국적을 불문하고 외국에서 초빙해 연구를 ... ...
시험 전날에 먹는 찹쌀떡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인류학자 프레이저는 ‘황금가지’에서 주술은 발육이 덜 된 기술이며, 거짓과학이라고
단언
했다.합격엿과 암시 효과그런데도 우리는 생활 속에서 수많은 유감주술을 행하며 산다. 연인들 사이에는 손수건 사주기와 신발 사주기가 이별을 불러온다며 금기가 돼 있다. 또 손잡고 다닐 때 깎지를 끼는 ... ...
모차르트 42번 교향곡은 컴퓨터 작품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주장한다.서얼은 “프로그램은 모두 구문(syntax)이며 의미(semantics)가 아니다”라고
단언
한다. 다시 말해서, 컴퓨터는 기호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 채 기호를 조작하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규칙에 따라 동작하기 때문에 사람처럼 마음을 가질 수 없다. 마음이 없는 컴퓨터가 창의성을 가진다는 것은 ... ...
조선백자 뒤에는 숲이 있었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축적(종이)에 사용된 나무나 숲이 없었다면 오늘날과 같은 문명은 없었을 것이라고
단언
할 수 있다. 숲의 희생이 있었기에 우리들이 오늘날 향유하고 있는 문명이 존재할 수 있었던 셈이다. 그래서 숲은 흔히 인류가 성취해낸 문명 발달의 숨은 공로자로 불린다. 우리 민족문화의 발전 뒤에도 ... ...
PartⅢ. ②부드럽고 충직한 로봇 비서 보트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손상을 입힐 듣도 보도 못한 악성 보트를 만들어낼지도 모른다. 레너드는 이렇게
단언
한다. “대부분의 보트들은 좋은 의도에서 출발하지만, ‘모든’ 보트들은 원래의 의도에 반하여 오용되어 왔으며 또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자, 그러면 해결책은 무엇인가? 보트의 제작자나 보트런너들이 ... ...
5. 산꼭대기에 묻힌 노아의 방주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만한 홍수가 일어났다 해도 3천m 이상이나 되는 높이로 배를 끌어올릴 수는 없다고
단언
한다. 더욱이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그 정도의 대홍수가 일어났다는 증거를 찾을 수 없다.후대인이 제작한 기념물일 수도그렇다면 아라라트산의 배 형체는 무엇일까. 성경의 문구 하나 하나에 진실이 ... ...
입체화되는 환경공학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이구동성으로 “한 분야만으로 환경 프로젝트를 감당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단언
했다. 환경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일은 폭넓은 지식과 복합적인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연구팀이 세운 원칙은 ‘쓰레기는 최소화, 재활용은 최대화’였다. 그리고는 원칙에 두가지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