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스&인터뷰] 내핵 속에 핵이 하나 더? 교과서에 없는 지구 속 구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이 구조를 ‘최심부 내핵(IMICinnermost inner core)’라고 부르죠.” 팜 탄숨 호주국립대 지구과학과 연구원은 지난 5월 18일 과학동아와의 화상 인터뷰에서 ‘최심부 내핵’이라는 생소한 용어를 소개했다. 팜 연구원은 같은 대학의 흐르보예 트칼치치 교수와 함께 지진파로 지구 내핵을 꾸준히 연구한 ... ...
- [만화 뉴스] 지구의 내핵 안에 또 다른 핵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철 결정의 방향이 다르다며, 내핵이 안쪽과 바깥쪽으로 나뉜다고 설명했어요. 호주국립대학교 탄손 팜 연구원은 “지구가 네 개의 층으로 이뤄졌다는 정설을 뒤집는 연구”라고 말했답니다 ... ...
- [특집] 튀르키예, 땅 찢고 우리나라까지 이동했다? 대지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지난 2월 6일 땅이 갈라질 만큼 강력한 지진이 튀르키예에서 발생했습니다. 바로 규모 7.8의 지진이었죠. 튀르키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5만 명을 넘어서면서(2월 24일 기준), 이번 지진은 21세기에 발생한 지진 중 피해가 5번째로 큰 지진이 되었어요. 튀르키예의 지진은 어떻게 최악의 지진 중 하 ... ...
- [핫이슈] 메리 스튜어트 여왕의 비밀 편지, 400여년 만에 암호를 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국립 도서관에서 우연히 발견되다 편지는 전혀 뜻밖의 장소에서 발견됐어요. 프랑스 국립 도서관의 전자 자료 보관소에 메리 여왕이 살아있던 때보다 이른 시기인 16세기 초반의 문서로 분류되어 있었거든요. 연구를 이끈 조지 라슬리 박사는 “주변의 문서가 메리 여왕의 국적과 무관한 ... ...
- 질문하면 답해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가깝기 때문이지요. 그래도 절대적인 지구 평균 기온이 궁금한 친구들이 있다면 미국 국립해양대기국에서 제공하는 1901년부터 2000년까지의 전 지구 평균 표면 기온 추정 값을 확인해 보세요. 지구의 연 평균 기온은 13.9℃(땅 8.5℃, 바다 16.1℃)로 계산됐던 것을 알 수 있답니다. Q. 딸기는 ... ...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전 세계 80개 이상의 연구 그룹이 OI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며, “최근 미국국립과학재단(NSF)에서도 관련 연구 프로그램(Engineering Organoid Intelligence)이 시작됐다”고 밝혔다. 물론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우선 뇌세포 바이오컴퓨팅이 일어나는 생물학적 원리의 대부분이 밝혀지지 않았다. 케이건 ... ...
- [Biostatistician] 빌 게이츠도 주목한 생물통계학자, 질병과 빈곤의 사슬에 맞선 논할라 옌데-주마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사람들을 앗아간 에이즈를 내 손으로 해결하고 말겠다는 의지였다. CAPRISA는 2002년 미국 국립보건원이 주도해 에이즈 문제에 국제적으로 대응하고자 만든 기관이다. 남아공 정부가 에이즈 예방 기관으로 지정한 곳이며, 이곳에선 에이즈 환자의 치료 방법과 전염 양상 등에 관해 대규모 임상시험을 ... ...
- [과학뉴스] 양성자 질량의 기원 밝혀졌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이 물질을 더 정밀하게 측정하는 실험을 제안한 상태다. 제인에딘 메지아니 아르곤국립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매우 흥분되는 실험결과”라며 “새 발견이 추가 실험으로 더 구체화되면 양성자에 대해 훨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 [5년 후, 과학은] 인체의 면역을 이용해 암까지 치료하는 면역관문억제제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면역항암이란 발상이 겪어온 시행착오들 그렇게 잊힌 면역항암제 개념을 미국 국립암연구소의 스티븐 로젠버그 박사가 다시 꺼냈습니다. 1980년경 로젠버그 박사팀은 환자의 피에서 면역세포인 T세포를 빼낸 다음, 이 세포를 활성화시켜 다시 환자 본인에게 주입하는 치료를 고안했습니다. 이렇게 ... ...
- [피플] 독창성의 비결은 독학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논문을 두고 PDE 문제를 기하학적으로 접근한 독창적 연구라고 평가했는데요. 2008년 대만국립대학교 수학과와의 인터뷰에서 카파렐리 교수는 이러한 결과가 “혼자 공부했기 때문인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2021년 피갈리 교수와 함께 슈테판 문제 관련 논문을 발표한 자비에 로스 오톤 스페인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