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대 민족
옛사람
d라이브러리
"
고대인
"(으)로 총 14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리(數理)로 풀어본 '미의극치' 황금분할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상징으로 여기며 이 두 가지 도형을 매우 신성시했다. 이러한 원과 사각형의 개념은
고대인
들의 많은 신화와 종교에 나타난다.비트루비우스가 생각했던 이러한 인간신체의 비례개념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그림(그림2)에서 다시 나타나게 된다. 이 그림을 보면 신체의 각 부위들이 황금분할에 ... ...
4 자원으로서의 흙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말리게 되면 상당히 딱딱하게 되어 원형이 오랫동안 보존된다.일찍이 B.C.3000년 전부터
고대인
들은 주변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점토를 일상적으로 이용했다. 점토를 다진 후 음식을 담을 토기를 만들었으며 햇볕이나 불에 그을린 벽돌을 이용해 집을 지었다. 인류 최초의 문명인 메소포타미아의 ... ...
2. 뇌파 낮추면 마음의 평안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하던 사람들은 고대 시베리아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및 세계 어디에서나 존재했다.
고대인
들은 샤만의 단조롭고 리드미컬한 목소리와 북소리 및 악기소리에 가만히 주의를 기울이는 동안에 변화된 의식상태인 무아지경에 도달하였다. 현대의 종교에서 행해지는 승려 혹은 목사의 설교와 찬송가 ... ...
청동기인의「돌달력」 스톤헨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몇일인지 척척 알아낼 수 있었다고 한다.그러니 요즈음 개념으로 본다면 스톤헨지는
고대인
들의 컴퓨터인 셈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날짜와 계절이 그 구조물속에 입력되어 있는 셈이다.통나무와 뗏목을 이용해 운반그렇다면 스톤헨지를 어떻게 만들었을까. 동력의 사용법도 모르고 도르래의 ... ...
팔만대장경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글로 나타내 온세상에 알림으로써 그의 자비로운 전능을 얻을 수 있으리라고 믿었던
고대인
들의 소망이 인류 최초의 문서들을 남긴 것이다. 그러나 인쇄문화의 발달은 결코 신의 섭리를 널리 알리는 데만 그 기능을 발휘하지는 않았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지식을 보급하고 후대에 지적 유산을 ...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없던 시절 계절의 변화를 알 수 있게 해주던 중요한 지표였다. 따라서 이 별이 뜨게 되면
고대인
들은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동쪽하늘에 크투루스가 뜨게 되면 건조한 계절이 시작되고 이때가 되면 여자들이나 습한 체질의 사람들은 자연적으로 무기력증에 빠지게 된다는 말까지 전해질 ... ...
유전학적 증거 갖고 두학파 맞서 네안데르탈인은 인류의 직계 조상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정례모임에서 검토되었다. 스트링거 박사의 견해에 따르면 현생인류는 아프리카에 있던
고대인
류로부터 진화했고, 약 10만년전 아프리카에서 흘러 나와 유럽과 아시아로 이주했으며 점차 전세계로 퍼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의 주장에 의하면,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은 거의 피가 섞이지 ... ...
피라미드 건설기술자 무덤 발견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짝이 없는 이 작업과정에서도 수북이 쌓인 먼지는 많은 어려움을 던져주고 있다. 일단
고대인
의 골격이 먼지막으로부터 빠져 나오면 대기중인 고고학자들에게 넘겨진다.하와스는 "이곳에 묻힌 사람들의 연령은 35~40세 사이입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그들 모두 척추에 결함이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한 ... ...
여름 새벽의 태양빛을 가린 달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침묵을 지키며 안전한 곳으로 숨어들었기 때문이다. 심지어 꽃들도 봉오리를 닫았다.
고대인
들에겐 하늘의 재난으로 여겨졌던 일식현상은 천구(天球) 상에서 황도(黄道)를 따라 움직이는 태양과 백도(白道)를 일주하는 달이 일직선상에 서게 될 때 나타난다. 태양은 황도상을 하루에 약 1˚ 동쪽으로 ... ...
유리를 둘러싼 한·일 공방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흙과 불은 청동과 토기와 쇠를 만들어 냈지만, 유리는 전혀 새로운 차원의 기술이었다.
고대인
에게 그 투명함이 주는 충격은 너무도 컸다. 실제로 유리제품은 오랫동안 금·은 보다 오히려 값이 비쌌다.유리 제조기술의 기원은 도기문화(陶器文化)와 연결된다. 토기를 구울 때 때때로 그 표면에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