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대 민족
옛사람
d라이브러리
"
고대인
"(으)로 총 145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라미드는 거대한 수학공식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바라보는 쪽은 정동 방향. 태양은 낮밤의 길이가 같은 춘분과 추분에 정동에서 뜬다.
고대인
들은 보통 춘분점을 천체 시스템의 기준으로 삼았다. 즉 이때를 태양의 1년 주기가 시작되는 지점으로 파악하고 다른 별들의 움직임을 관찰했다.그렇다면 스핑크스는 왜 사자모양을 하고 있을까. 그것은 ... ...
삼국시대 천체관측기록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있다. 그것은 자연의 비일상적인 변화가 인간과 사회의 운명에 중요한 암시를 준다는
고대인
의 믿음 때문이다. 자연현상 중에 천문현상은 고대사 연구에 큰 가치가 있다. 그중 몇가지를 지적해보자. 첫째 천문현상은 정연한 물리법칙에 의하여 일어나기 때문에, 천체역학적 계산이나 자연에 ... ...
수학의 난제 π값 계산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원넓이와 일치한다. 이때 반지름이 1이면 가로의 길이는 3.1415926535…임에 틀림 없다.
고대인
의 원둘레 계산법(Ⅰ)(1) 일정한 길의 나무도막 양끝에 끈을 묶고 원을 그린다.(2) 끈으로 원둘레를 잰다.(3) 반지름을 원주상에 표시한다.(4) 눈금이 6번 생기고 좀 남는다.(5) 반지름 하나를 잰 끈의 길이를 두번 ... ...
1. 현대물리학 혁명 입자·파동 두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원자시계가 우리 사회 도처에서 훌륭하게 제몫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2천5백년전
고대인
들의 이상, 즉 가장 복잡해 보이는 자연현상을 가장 간단한 기본원칙으로 모두 설명하려 했던 열정은 그들이 가장 등한시했던 빛이라는 존재의 연구과정에서 밝혀진 셈이다. 아이러니컬한 과학사 흐름 ...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큰 물체를 만지고 있는 것이 된다. 그러면 지구는 과연 얼마나 클까?지구의 모양에 대한
고대인
의 생각은 대체로 평평하다고 생각한 지구와 구형이라고 생각한 지구로 요약될 수 있다. 거대한 지표의 미소한 점에 위치한 인간에게 지표는 평평하게 보이므로 일반인에게 지구는 평평한 것으로 ... ...
지구위치측정시스템(GPS)이용, 화산피해지역 복구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다시 별을 바라보는 일이 생기고 있다.물론 '별'이라 하더라도
고대인
들이 바라다본 별과 오늘날의 그것은 매우 다른 의미를 가진다. 현대에 정확한 위치정보를 가르쳐주는 것은 인공위성이다.일본의 과학지 '우탄'에 따르면 지난 7월에는 인공위성에 의한 ... ...
자외선 오존층 뚫고 지구 위협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빛에 의한 식물성 색소들의 탈색을 발표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고대인
들도 이미 빛이 생명현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광생물학적 지식과 물질의 성질 변화에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광화학적 지식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빛과 물질계의 상호작용은 물론 빛 자체의 ... ...
지구과학 -B.C.2천년전 고대 이집트서 처음구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해시계를 이용했다. 이로부터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는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결국
고대인
들은 밤낮으로 길이가 다른 시간단위를 사용한 것이나 그 당시에는 시간에 그렇게 구애받지 않는 시대였으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았을 것이다.기원전 1000년경의 메소포타미아인들의 관측기록은 보다 ... ...
물질의 궁극적 존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쪼개고 또 쪼개면 궁극적으로 남는 것은 무엇일까.
고대인
의 물질관에서부터 분자 원자 아원자 소립자의 세계로 이어지는 과정을 추적해본다. 물질구조의 이해는 세계관의 변화를 의미하며, 그 연구결과는 곧바로 우리가 누리고 있는 과학기술문명과 직결된다. 분자구조가 밝혀지면서 화학혁명이 ... ...
타분 동굴의 유해, 인류최초의 매장 증거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따르면 타분동굴의 발굴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하는데 따라서 이 지역에서 살았던
고대인
들의 생활상 역사 등이 앞으로 더욱 생생하게 밝혀질 것이다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