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끄러지기
활창
슬라이딩
미끄러짐
미끄럼 타기
활공
d라이브러리
"
활주
"(으)로 총 149건 검색되었습니다.
모형비행기로 무인 공중 촬영 성공한 김인봉
과학동아
l
199307
대전지방환경청 앞 갑천고수부지로 뛰쳐나간다. 엑스포 대회장이 가깝고 잔디가 잘 자란
활주
로가 그를 기다리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거기에는 어린이는 물론 나이 지긋한 국민학교 선생님도 떨리는 손으로 조정간을 잡고 모형비행기를 즐긴다.어느 새 그들과 한 식구처럼 지내는 ... ...
최초 비행기 모형 열대 식물 씨앗 본떴다
과학동아
l
199306
kg의 짐을 실어나를 수 있었다. 10m 익폭의 두번째 비행기는 70kg의 짐을 싣고 3백m의 거리를
활주
했다. 이그 에트리흐는 1909년 이 비행기에다 40마력의 발동기를 설치하려 시도하면서 평형이 유지되도록 무게중심의 올바른 위치를 설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보다 넓은 주익과 꼬리날개의 필요성을 ... ...
우주를 나는 비행기 「젱거」
과학동아
l
199303
다음 지구를 벗어난다. 젱거와 호러스는 모두 재사용이 가능하며 임무가 끝난 후에는
활주
로를 통해 착륙한다.젱거를 단독으로 운항하는 경우 승객 2백45명을 태우고 35km 상공을 마하 7로 날아 북경과 로스앤젤레스를 2시간 40분만에 주파한다. 호러스는 2~6인의 우주비행사와 2~4t의 화물을 싣고 고도 ... ...
1 대기권을 뚫어라
과학동아
l
199205
호톨(HOTOL)이다.미국의 NASP나 X-30은 고도 8~15만ft를 극음속으로 비행하는 시험기이며
활주
로에서 수평으로 이륙한다. 마하수 3까지 터보제트, 마하 3~5 사이에서는 램제트의 이중 모드로 비행하고 다시 마하 15에서 30의 영역에서는 로켓모터로 비행가능하도록 계획하고 있다. 연료는 액체수소를 ... ...
4 속도 따라 엔진이 변신한다
과학동아
l
199205
대두되면서 지상
활주
로를 통해 비행기와 같이 이륙하고 상승 궤도진입 활강을 거쳐
활주
로에 착륙하는 형태의 기법을 시도하고 있다. 다만 기존의 제트엔진류는 지구중력장을 이탈, 우주로 진입하는데 충분한 힘도 없을 뿐만아니라, 고공의 희박한 공기로 인한 성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기 ... ...
3 건물배치도 훌륭한 소음대책
과학동아
l
199107
착륙해 유도로를 통해서 탑승장으로 들어오는 동안의 소음이나, 또는 탑승장에서
활주
로로 가는 동안의 소음은 지상이 동소음으로 도로교통소음과 같이 전파경로대책인 방음울타리로 간단히 해결된다. 김포국제공항 제2청사의 경우도 12.5m의 방음벽을 설치해 지상이동소음을 해결했다. 그런데 ... ...
1 전화벨에서 비행기까지
과학동아
l
199107
발생하기 때문에 우리 인간에 주는 피해 이외에 건물에도 피해를 준다.항공기는 주로
활주
로 주변에서 이착륙시 소음을 가장 크게 발생시킨다. ■ 생활소음/건물구조에 따라 차이생활소음이란 주택가 주변 유흥가에서 발생하는 소음, 교회에서 발생하는 소음, 행상인이 발생시키는 소음 및 이웃 ... ...
4 고함소리의 1백억 배
과학동아
l
199107
이착륙시에는 날개의 유효면적을 늘리기 위해 날개 뒤쪽에 있는 플랩(flap)을 크게 하고,
활주
로에서 주행하기 위해 착륙(landing) 기어를 이용한다.이러한 장치들은 비행기의 유선형 모양을 흐트러뜨려 비행기 주위의 공기 흐름을 불안정하게 만든다. 이때 생긴 와류들이 소음의 주요 원인이 된다 ... ...
우주로 향한 차세대 항공기
과학동아
l
199106
고도 9km에 마하 0.8에서 공중발사해 7t화물을 저고도 궤도에 진입시킨 후, 활공으로 일반
활주
로에 수평착륙하는 무인 비행체 개념을 공동으로 검토하도록 계약을 맺었다. 공중에서 발사되므로 이경우 HOTOL의 양력은 적어도 된다. 따라서 HOTOL의 날개 크기가 작아지며 또한 순수 로켓 엔진을 사용해도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06
기술자들은 이 아스카에도 그들의 장기인 개량을 거듭해 나갔다. 그 결과 87년에는
활주
거리가 5백9m로 단축됐고 88년에는 4백 39m로 줄어들었다. 이같은 추세라면 멀지 않은 장래에 일본제 수직이착륙기(VTOL)도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항공기의 기본 제작능력에 있어서 서구보다 열세라고 느낀 일본은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