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윤
삼출
관통
침탄
침입
삼투
잠입
d라이브러리
"
침투
"(으)로 총 578건 검색되었습니다.
감기 예방약 개발, 청신호 켜졌다
과학동아
l
201106
새럴 프레시맨 교수가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았다. 바이러스가 동물의 세포에
침투
할 때 쓰는 표면 단백질을 무력화시키는 신약을 설계했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5월 13일 과학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렸다.프레시맨 교수팀은 먼저 독감의 원인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실험 대상으로 ... ...
Part 3. 환경과 장묘문화가 만든 시간의 마법
과학동아
l
201106
만드는 방법은 이렇다. 우선 시체를 수조에 넣어 발삼향이 나는 방부액을 피부로
침투
시킨다. 그 다음 부패하기 쉬운 뇌와 안구, 내장 등을 빼내고, 생체 수분량과 같은 70~80%의 방부액을 체내에 채워 넣고, 피부가 팽팽해지도록 몇 시간 동안 공기 중에 노출 시킨 다음 화장을 시키고 새 옷을 입혀 ... ...
CO2가 피운 눈꽃, 드라이아이스
과학동아
l
201106
초임계 상태가 된다. 초임계 상태는 기체처럼 확산이 빠르고 1nm보다 좁은 공간에
침투
할 수 있다. 액체처럼 다른 물질을 잘 녹여내기도 한다. 초임계 상태 이산화탄소는 커피 원두로 들어가 크고 무거운 커피의 맛 분자와 냄새 분자는 놔둔 채 작고 가벼운 카페인 성분만 녹여낼 수 있다. 온도가 ... ...
전국이 들썩들썩~, 구제역 공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4
걸리나요?소나 돼지처럼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의 세포막은 구제역 바이러스가
침투
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어요. 그런 세포막을 통해 구제역 바이러스가 세포 안으로 들어가 증식하게 되면 구제역에 걸리는 거지요. 하지만 사람이나 강아지와 같은 생물의 세포막은 소나 돼지와 다르게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03
말을 할 줄 알았다. 그러나 미세교세포는 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뇌 속에
침투
했을 때처럼 위급한 상황에서만 입을 열었다.이렇게 입조심을 하는 이유는 미세교세포의 말이 통증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면역세포의 말이 통증을 일으킨다. 통증은 일종의 경고 장치로, 외부의 유해한 ... ...
레이저 광선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1103
빛을 내보내는 레이저가 아니라 빛을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기술이 개발됐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광자를 사용하는 광학컴퓨터나 신개념 영상의학 ... 작동하는 광학 컴퓨터를 만들 수 있다. 또 전자기선 등에 활용하면 인간의 피부 조직에
침투
해 치료나 영상 의학에 활용할 수도 있다 ... ...
Intro. 한반도 바이러스 대공습!
과학동아
l
201102
매몰됐다. 다섯 마리 가운데 한 마리 꼴이다. 다행히 전남과 제주는 아직 구제역이
침투
하지 않았고 전북은 돼지농장 2곳, 경남도 돼지농장 한 곳만 구제역이 확인됐다. 우리나라 축산업의 붕괴를 막기 위해 정부는 현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02
바이러스가 소의 비인두(코 뒷부분과 목을 연결하는 부분)의 상피세포에 가장 먼저
침투
한다는 사실을 밝혀 ‘수의병리학지’ 2010년 11월호에 발표했다. 인테그린은 상피세포 표면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같은 바이러스라도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숙주 세포 표면의 ... ...
Part 1. 구제역 전파
과학동아
l
201102
둘러싸여 있는 게놈이 온전하게 보존돼 있느냐에 달려 있다. 또 숙주(바이러스가
침투
해 번식하는 생명체) 세포 표면을 인식할 수 있는 단백질도 온전해야 한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사실 구제역바이러스는 매우 연약한 편이다. 게놈이 DNA보다 훨씬 불안정한 RNA로 이뤄져 있고 외피가 없어 단백질 ... ...
홍역바이러스는 새로운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02
교수팀과 메이요 병원의 로베르트 카타니오 박사 팀은 홍역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침투
하는 방법을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 1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바이러스 부착단백질의 어떤 부위가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지 알아내기 위해 단백질 구조를 분석했다. 그 결과 부착단백질의 윗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