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윤
삼출
관통
침탄
침입
삼투
잠입
d라이브러리
"
침투
"(으)로 총 578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03
통해 쉽게 몸 안으로 들어갈 수 있어요. 개구리의 천적 항아리곰팡이도 약한 피부에
침투
해 우리를 괴롭히는 녀석이죠. 여러분들이 항아리곰팡이를 없애는 약을 만들어줄 수는 없나요? 한참 얘기를 하다 보니 한국의 개구리들이 막 잠에서 깨어나고 있군요. 가서 만나봐야겠네요. 한반도에서 ... ...
더 빨리, 더 크게, 더 높이
과학동아
l
201203
고가의 무기와 첨단 전자 장비를 갖춘 고가의 전투기들. 따라서 전투시에 적지에
침투
해 효과적으로 공격하되 전투기의 손실은 줄여야 합니다. 이 때문에 상대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는 스텔스 기술 개발이 필요했습니다. 록히드 항공사가 맡은 스컹크 웍스 프로젝트는 전설적인 첩보 비행기 개발로 ... ...
PART2. 게임, 현실을 침공하다
과학동아
l
201202
1년 반 전 ‘게임포칼립스(Game + apocalypse)’라는 용어를 소개한 강연에서 “게임이 현실로
침투
하는 경향이 점점 심해질 것이라며 미래에 우리의 현실 생활이 게임처럼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말 그대로 ‘게임으로 인한 종말(Gamepocalypse)’이다.이를 가능하게 하는 개념이 이른바 ‘버리는 또는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02
유전자에 3개의 돌연변이를 일으켰다. 조류의 세포를 숙주로 하는 H5N1이 포유류 세포에
침투
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돌연변이다. 푸히르 교수는 유전자의 3군데에 돌연변이가 생긴 바이러스를 족제비에게 접종했다. 족제비는 이 바이러스에 감염됐지만 아직 다른 족제비에게 공기를 ...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
수학동아
l
201201
공간은 라면을 끓일 때도 아주 큰 역할을 해. 면발 사이사이로 열과 수분이 빠르게
침투
할 수 있도록 돕거든. 그러면 면발 속에 있던 지방이 빠르게 녹아 나오면서 양념이 골고루 배일 수 있지.둘째, 라면을 많이 담기 위해서야! 라면의 면발은 곡선이기 때문에 같은 부피 안에 최대한 많은 양을 담을 ... ...
겨울나기 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23
: 당과 단백질로 만들어진 물질을 부르는 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당단백질은
침투
할 세포를 붙잡거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세포 밖으로 나올 수 있게 해 준다.약 처방전깨끗하게 손 씻기로 감기 안녕~감기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손을 자주 씻는 것이다. 손 씻기로 ... ...
왕자님의 인어 찾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5
알이 광합성을 하는 녹조류와 공생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점박이 도롱뇽의 알에
침투
한 녹조류는 도롱뇽의 세포와 알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먹고 산다. 그리고 도롱뇽의 알은 녹조류가 광합성으로 만든 산소를 얻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척추동물과 조류가 서로 공생하면서 살아가는 첫 번째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3
5~10nm 크기의 입자는 세포막을 뚫고 들어갈 수 있을 정도지요. 그렇게 혈관 속으로
침투
한 나노물질은 우리 몸 어디든 갈 수 있어요. 이런 경우 우리 몸이 어떤 반응을 하는지는 아직 연구 중이에요. 또 물질이 나노크기로 변하면 그 성질이 변하는 경우가 있어요. 그 부분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 ... ...
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
과학동아
l
201111
수지상세포를 발견했다. 그는 후천성 면역세포, 즉 B세포와 T세포가 어떻게 병원균이
침투
했음을 알아내는지에 대해 연구했다. 이들 세포는 감염되자마자 즉각 반응하는 세포가 아니기 때문에 누군가가 병원균의 침입을 알리고 활성화시킨다고 생각한 것이다. 수지상세포는 병원균이나 종양을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11
우주선 입자 중에서도 에너지가 특히 큰 입자는 지표면 아래로 수 cm에서 1m 이상까지
침투
해 핵반응을 일으켜 희귀가스를 만들 수 있다.만약 소행성에서 채취한 물질에서 희귀가스가 발견된다면 전자인지 후자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산소 동위원소처럼 희귀가스 역시 생성 기원에 따라 고유한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