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82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토막 과학상식]차세대 반도체서 전자 대신할 ‘엑시톤’ 조절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07
삼성전자 부사장 연구팀, 박형렬 UNIST 물리
학과
교수 연구팀, 김기강 성균관대 에너지과
학과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엑시톤 입자를 손실 없이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엑시톤은 음전하인 전자와 양전하인 정공이 합쳐진 형태로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이 특성 ... ...
탄소중립 베이징 동계올림픽이라는데 정작 과학자들은 '회의적'
동아사이언스
l
2022.02.06
갈수록 지속가능성이 낮아진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마틴 뮬러 스위스 로잔대 컴퓨터과
학과
교수는 지난해 4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속가능성’에 올림픽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게임의 규모가 커지며 지속가능성이 낮아졌다고 발표했다. 뮬러 교수는 “상쇄에 너무 의존하는 것은 지금 쓰고 ... ...
어린이는 오미크론 변이에 취약할까...어린이 입원 비율 높아져
동아사이언스
l
2022.02.06
면역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벳시 헤럴드 미국 앨버트아인슈타인의대 소아전염병
학과
교수는 “모든 사람이 바이러스를 본 적이 없는 깨끗한 상태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상황이 바뀌었다”며 “오미크론 변이가 타고난 면역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에 착수했다”고 ... ...
[표지로 읽는 과학]잎벌레 막는 비장의 무기
동아사이언스
l
2022.02.06
기대된다. 이완 볼드윈 독일 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연구소 교수는 "정교한 분자 생물
학과
화학 분석 방법을 결합해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방어 물질뿐만 아니라 합성을 담당하는 유전자까지 식별해낼 수 있었다"며 이번 연구의 성공 요인을 꼽았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작은 곤충에서 발견한 새로운 고속 비행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2.02.05
곤충과 비교해 3배는 더 빨리 비행한다. 알렉세이 폴리로프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 곤충
학과
교수 연구팀은 깃날개깨알벌레의 빠른 비행의 비밀을 밝혔다는 연구결과를 지난 1월 19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베트남에서 채집한 깃날개깨알벌레를 투명 용기에 넣고 날개짓을 초고속 카메라로 ... ...
[프리미엄 리포트]시간이 멈춘 골목의 시계장인들
과학동아
l
2022.02.05
기술이 시초다. 그래서 용어도 일본식 용어를 사용했다. 반면 독일 유학이나 시계
학과
진학을 통해 배운 신진 시계기술자들이 사용하는 용어는 영어였다. 용어에서 ‘세대’가 갈린 것이다. 전 대표는 논문에서 “예를 들어 시계의 부속품 중 ‘압조(오시도리)’라는 부속이 있는데, 나는 예지동 ... ...
유전자 조작 면역 항암 치료 10년만에 '완치' 판정
동아사이언스
l
2022.02.04
10년 이상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지프 멜른호스트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병리
학과
교수와 칼 준 면역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2010년 CAR-T세포 치료를 받은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환자 2명을 최근까지 추적 관찰한 결과 암 세포가 사라진 상태가 10년 이상 지속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 ...
[코로나 생존, 끝나지 않은 굴레]③ 백신과 먹는약이 위험 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2.03
사전공개 사이트 '메드아카이브'에 공개됐다. 아키코 이와사키 예일대 의대 면역생물
학과
교수는 지난해 11월 국제학술지 '네이처'를 통해 "백신을 맞으면 돌파감염되더라도 초기부터 바이러스에 대항할 T세포와 항체가 다량 만들어진다"며 "일부 바이러스가 완치 후까지 몸속에 몰래 숨어 있을 ... ...
“바이러스 병원체 원형 찾고 우선순위에 집중”...美‘감염병대비계획’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2.03
지카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 연구에 집중한다는 의미다. NIAID는 바이러스 생물
학과
구조생물학, 숙주 면역 반응, 면역 회피 메커니즘, 질병 발병 기전, 질병 동물 모델 등 프로토타입 병원체와 우선순위 병원체 연구에 바탕이 되는 연구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연구와 전임상 연구를 지원한다는 ... ...
콧속부터 코로나 막는 '비강 백신 부스터샷' 나오나...효능 개선이 숙제
동아사이언스
l
2022.02.03
이론상 예측한 것보다 실제로 생성되는 IgA의 양이 적다는 점이다. 캐나다 토론토대 면역
학과
제니퍼 고머만 교수팀이 지난달 2일 메드아카이브에 공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강 백신을 6개월 간격으로 2번 뿌린 사람들의 약 30%만이 바이러스 감염을 막아낼 만큼 IgA가 만들어졌다. IgA 수치가 낮은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