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변신 2 - 사람을 살린다! 의료용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되지요. 과학자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니 돼지에 주목했어요. 체중이 100~120kg 정도 되는 미니 돼지는 사람과 장기 크기가 비슷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처음엔 돼지의 장기를 이식받은 환자가 하루를 넘기지 못하고 죽는 등 수술 결과가 좋지 않았어요. 이때문에 과학자들은 그 ... ...
- 어서와! 고등학교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석차) 비율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여 상대평가를 합니다. 어떤 수업을 듣는 학생이 100명이라면, 상위 4%인 1~4등까지는 1등급, 상위 11%까지 해당하는 5~11등까지는 2등급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총 9등급으로 나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내 시험 점수만으로 성적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수업을 ... ...
- 서울 선덕고 김지명 군 “ㄱㄴㄷ 문제는 개념 충실히 익혀야 안 틀려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도움을 준 사람들에게 감사를 전했다. 김 군은 수능에서 국어 표준점수 150점(백분위 100), 수학 133점(100), 영어 1등급(절대평가), 화학Ⅰ 67점(99), 생명과학Ⅱ 70점(100), 한국사 1등급(절대평가)의 ‘완벽한 성적’을 기록했다. 그런데 사실 그는 수능에 ‘올인’한 것은 아니었다. 정시로 대 ...
-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20억 년 만에 전체 질량의 1/3을 잃어버렸으며, 이는 비슷한 현상을 겪고 있는 GJ 436b보다 100배나 빠른 속도지요. 연구팀은 이렇게 빠른 속도로 증발하는 이유를 밝혀내면 행성의 수명이 무엇에 영향을 받는지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답니다 ... ...
- Part 3. 변신 3- 누가 돼지를 둔하다고 했나 감각적인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유전자는 총 1300개 정도로, 후각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개보다 많았어요. 개는 보통 1100개 정도의 후각 수용체 유전자를 지니거든요. 이는 후각 수용체 유전자를 400여 개 가진 사람의 3배에 달하는 수준이랍니다. ● 인터뷰 - 조앤 레프슨(남아프리카공화국 농장 보호구역 책임자) “동물에게도 ... ...
- [통합과학 교과서] 동화나라가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안전 장치를 설치한 엘리베이터를 공개한 지 160여 년이 지난 지금, 엘리베이터에는 약 100여 개의 안전 장치가 추가되었으며 속도도 훨씬 빨라졌어요. 오티스가 최초로 설치한 엘리베이터는 1분당 12m 정도의 속도로 오르내렸는데, 현재 가장 빠른 엘리베이터는 1분에 1260m 정도를 움직인답니다. 현재 ... ...
- [가상인터뷰] 웜뱃의 주사위 모양 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지구상에서 주사위 모양으로 똥을 쌀 수 있는 동물은 우리 웜뱃뿐일 거야. 하룻밤 사이 80~100개 정도 만드니까 원한다면 하나 가지렴. 만져보면 알겠지만, 우리 똥은 아주 딱딱해. 우리는 장이 길어서 음식을 먹으면 2주 동안 소화를 시켜. 사람이 보통 9~15시간 동안 음식물을 소화하는 것에 비하면 ... ...
- Part 3. 3시간 만에 뉴욕으로 초음속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비행하지요. 일단 비행기를 수직으로 세운 뒤 추진체를 발사해 땅으로부터 100km 위로 상승해요. 이후 비행기와 발사체를 분리한 뒤, 비행기만 높은 대기로 들어오지요. 이때부터는 별도의 엔진이나 프로펠러를 이용하지 않고 활공해요. 이때의 비행기는 음속보다 5배 빠른 속도로 날게 된답니다. ...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80m 길이의 수조에서 모형 선박으로 운항 테스트를 마치기도 했지요. 야라 버클랜드는 100% 전기 충전을 통해 움직이며, GPS 위성을 이용해 항로를 찾아요. 또 센서를 통해 파도의 높이와 조류, 풍속 등을 측정하고 주요 장애물을 파악하지요. 두 회사는 지금 모형이 아니라 실제 바다에서 운항할 ... ...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갈로아벌레’를 발견했어요. 그때 “여기서 왜 갈로아벌레가 나오지? 이건 100% 신종”이라고 생각했어요. 갈로아벌레는 전세계에 30종 밖에 없는 ‘살아 있는 화석’이거든요. 이 사건을 계기로 이과로 진학했지요. Q 그 곤충이 갈로아벌레인 걸 알아본 게 더 신기해요. 곤충을 진지하게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