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바다, 미시, 아름다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연결된 모습이다. 스테파노파이시스 투리스의 크기는 수십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분의 1m)에 불과하다. 입자가 작을수록 부피에 대한 표면적의 비가 커, 빛 조건이 좋은 표층에서 가라앉지 않고 오랫동안 머물며 광합성을 할 수 있다 ... ...
- [이달의 PICK] 귤, 붕어빵, 군고구마...겨울 간식 3대 천왕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됩니다. 하지만 바로 이점 때문에 군고구마는 찐고구마보다 칼로리가 높습니다. 고구마 100g당 열량은 생고구마 111kcal, 삶은 고구마 114kcal, 군고구마 141kcal로 군고구마가 제일 높습니다. 곽 책임연구원은 “고구마 껍질에는 황색의 베타카로틴, 자색의 안토시안 등 항산화성분과 각종 비타민이 ... ...
- [이달의 PICK] ‘파리협약’ 본고장 파리의 실험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발전량에서는 원자력발전에 이어 2위다. 베장 연구원은 “아직까지 친환경에너지로 100% 발전하기는 불가능하다”며 “기존 건물이나 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쓸모없는 폐기물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도 병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파리 시내의 일부 버스 노선은 100% 전기차로만 ... ...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농도를 줄여준다는 사실을 확인해 배가 숙취 해소에 도움을 준다고 결론 내렸다. doi: 10.1002/ptr.4630 이어 2013년 양 교수팀은 14명의 건강한 남성을 대상으로 배 주스를 먹인 뒤 알코올을 섭취하게 했더니 그렇지 않은 참가자에 비해 혈중 알코올 농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은 “CCR5는 대부분의 사람이 다 갖고 있는 유전자인데, 백인의 경우 100명 중 1명꼴로 결여돼 있다”며 “일반인에 비해 뇌염을 일으키는 웨스트나일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쉽다는 보고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이 유전자가 없어도 살아가는 데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 ...
- [과학뉴스] 새 역사를 쓴 뉴호라이즌스호와 창어 4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크레이터’에 첫발을 디뎠어요. 창어 4호는 달의 표면 위 15km 위에서부터 속도를 줄이고 100m 위에 도착해 표면의 장애물을 확인하고 경사면을 측정하면서 평평한 지역을 골라 수직으로 내려왔어요. 앞으로 창어 4호는 달 뒷면의 토양을 분석하고 식물을 키우는 실험도 진행할 예정이에요. ... ...
- Part 2. SPORTS, ENERGY, VITAMIN, COFFEE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남성 90mg, 여성 75mg, 유럽연합(EU)은 80mg을 권고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권장 섭취량은 100mg이다. 비타500이나 오로나민C 하나만 마셔도 이미 권장 섭취량의 몇 배를 먹는 셈이다. 사실 비타민C는 수용성이라서 우리 몸에 필요한 양보다 많이 먹더라도 소변으로 배출돼 큰 문제는 없다. 하지만 간혹 ...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게다가 여의도고는 이과계열과는 별도로 ‘과학중점반’을 운영하는데, 학생 수가 100여 명에 불과해 1등급을 받을 수 있는 학생이 2명이었다. 과학중점반에 속해 있던 박 씨는 수시에서 승부를 보기 어렵겠다는 판단이 섰다. 그래서 박 씨는 고등학생 때부터 정시에 올인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는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일상용품을 예술 작품으로~ 마르셀 뒤샹의 ‘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100년 전만 해도 예술이란 예술가의 손을 거쳐 만들어야 한다는 암묵적인 법칙이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예술은 대상을 만드는 게 아니라 개념을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등장합니다. “예술적이지 않은 작품을 만들 수 있을까?” 시중에 파는 변기통을 두고 예술이라 말하는 ... ...
- [과학뉴스] 먹기만 해도 살 빠지는 칩 탄생!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차단되면 체중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이 평균 체중의 쥐를 대상으로 100일 동안 실험한 결과, 칩이 이식된 쥐는 그렇지 않은 쥐에 비해 체중이 약 63% 수준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칩을 제거하자 미주신경은 다시 원래대로 작동했으며, 쥐의 체중도 서서히 늘어났다. 왕 교수는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