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 탄소, 인공지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관 리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등록된 1억 5000만여 종 중 탄소 화합물이 약 90%를 차지할 정도지요.다이아몬드와 숯은 탄소로 이뤄진 대표적인 물질 이에요. 둘은 탄소 한 종류로만 이뤄져 있으나 원자 배열이 다른 물질인 동소체지요. 이 사실은 1772년 프 랑스 화학자 라부아지에에 의해 처음 ... ...
- [특집] 새로운 화폐, CBDC의 등장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기관”이라며 “이 기관들의 보안체계를 동시에 과반 이상 해킹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어렵다”고 말했다. 용어정리* 법정화폐: 정부나 중앙은행이 법에 따라 발행하고 관할권 내에서 가치와 통용을 법적으로 강제하는 화폐다. * 기축통화: 국제단위의 결제나 금융거래에서 기본이 ... ...
- [연중기획]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1탄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프로그래밍 교육 자료를 제공합니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생까지 학년별 추천학습 과정도 있습니다. 미션1생활안전 국민행동요령을 알려주는 인공지능 만들기 ➊ 엔트리 홈페이지(https://playentry.org/)에 접속해 로그인합니다.➋ 엔트리 ‘작품 만들기’로 들어간 뒤 ‘인공지능’ 블록 ...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모여든다. 2000만 명의 인구가 방류한 생활하수는 여러 과정을 거쳐 하천에 방류해도 좋을 정도로 깨끗해지지만, 이 과정에서도 걸러지지 못한 ‘인간의 흔적’이 한강 물에는 여전히 일부 남아 있다. 의약품 성분이 대표적이다.김현욱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한강 탄천과 중랑천 등 한강 ... ...
-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인공지능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두고 이뤄진다는 특징이 있다.폰 노이만 구조는 현대적인 컴퓨터 대부분에 적용될 정도로 효율적이고 범용적인 방식이지만, 어쩔 수 없는 한계점도 지니고 있다. 바로 ‘폰 노이만 병목’이라고 부르는 현상이다.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가 연산 장치와 구분돼 있다 보니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수리부엉이, 6개월 간의 육아일기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방생시킬 수 있다.야생 수리부엉이는 부화 후 두 달이면 둥지를 떠난다. 이후 3달 정도는 둥지 주변에 따로 머물며 부모의 보살핌을 받고 두 달 더 지나면 완전히 독립을 한다. 구조센터에서 자란 새끼들이 완전히 독립하는 데 6개월이 걸렸다. 조금 더 일찍 내보낼 수 있었지만, 낙엽이 떨어져 ... ...
- 리튬이온배터리 전성시대 그 이후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있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상용화된 어떤 배터리보다 전력을 많이 저장할 수 있고, 어느 정도 소형화도 가능하다. 사용하지 않을 때 방전도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흔히 리튬이온배터리를 ‘완성형 배터리’라고 평가하는 이유다.이런 장점 덕에 리튬이온배터리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휴대용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7화. 이건 악몽일 거야! 불가능한 방 탈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함정에 당해 죽은 미라뿐이었습니다.반쯤 정신이 나간 선장을 붙들고 간신히 미라도 함정도 없는 방에 들어온 일행은 잠시 숨을 돌렸습니다. 그때 구멍 주위의 기호를 물끄러미 쳐다보던 딱지가 외쳤습니다.“여기는 아까 왔던 방이잖아요!”“뭐라고? 정말이야?”루띠가 물었습니다.“확실해요. 저 ... ...
- [특집] 다양한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지도에 투영한 원 모양과 크기를 비교하면 지도에서 각 지역의 형태, 거리, 면적의 왜곡 정도를 눈으로 파악할 수 있어요. 이 변화로 각 지도의 속성과 용도를 이해할 수 있답니다. ●한눈에 보는 지도 변천사 [고대의 지도] 기원전 600년경 제작된 점토 지도 : 바빌로니아인이 점토판에 그린 ... ...
- [이달의 과학사] 1932년 4월 4일 괴혈병을 막는 비타민 C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1932년 4월 4일, 찰스 글렌 킹이 헥수론산이 비타민 C라는 사실을 확인합니다. 약 2주 정도 뒤 얼베르트 센트죄르지도 같은 내용을 발표하지요. 누가 비타민 C를 최초로 발견했느냐를 두고 두 과학자가 다퉜지만, 오랫동안 헥수론산을 연구한 얼베르트 센트죄르지에게 공이 돌아갔어요. 그는 헥수론산의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