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의 기록, 바닷속에서 추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한 곳에 머물고 관측기를 설치해요. 일부는 수거하고, 나머지는 바다에 묻거나 해빙 위에 올려두고 오죠. 그런데 지난 탐험에 북극곰과 헤프닝이 있었어요. 설치해둔 기기에서 데이터를 받는데, 갑자기 끊긴 거예요. 돌아가 보니 북극곰이 기기를 툭툭 치고, 헤집어놓은 거였어요. 물론 모르고 그런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2화. 소중한 수학 가족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이 집안의 귀여운 막둥이입니다. 사실 저를 제자로 받기 전까지 5년 동안 대중화 활동을 위해 제자를 받지 않으셨는데요, 제자를 다시 받기로 하셨던 시기가 마침 제가 박사를 지원한 시기였던 것도 참 신기한 인연이 아닐 수 없습니다.교수님의 제자들, 즉 저의 수학 남매 중 가장 활발하게 연구하고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엄청난 일입니다. 2018년 타계한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는 지구가 당면한 가장 큰 위험 중 하나로 기후변화를 꼽으며, 최고의 해법은 핵융합 에너지를 통해 친환경 에너지를 얻는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죠. 아직까진 그 누구도 가 보지 못한 길이지만, 온 인류가 힘을 합쳐 해낼지 또 누가 ... ...
- 꼭꼭 숨은 카메라, 과학이 검거한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데 유용합니다. 만약 카메라에 전원이 꺼져 있다면 어떨까요. 실제로 배터리를 아끼기 위해 빛이 없거나 움직임이 없으면 꺼지는 불법 촬영 카메라도 있습니다. 이 이사는 “전원이 꺼진 카메라는 카메라 속 비선형 소자를 탐지하는 기기로 찾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쉽게 말해 카메라에 들어 있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색을 인지하는 원뿔세포가 착시를 일으켰기 때문이에요. '원뿔세포는 우리 눈의 망막에 위치해 색을 인지하는 역할을 해요. 빨강과 노랑, 파랑 세 종류의 수용기로 이뤄져 있는데, 이 수용기가 각각 자극을 받는 비율에 따라 다양한 색을 구분할 수 있지요. 그런데 검정색과 흰색이 교차로 나타나는 ... ...
- [기획] 이런 기사가 있었지! 다시 보는 수학동아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오일러 프로젝트를 좋아하는 독자라면 오일러가 왜 3등인지 의아할 텐데요, 형평성을 위해 연재 기사에 등장하는 수학자는 제외하고 조사했답니다.여러분은 어떤 수학동아 기사가 가장 기억에 남나요? 떠오르는 기사가 있다면 지금 바로 다시 한번 읽어보세요! 처음 읽었을 때를 추억할 수도 있고, ... ...
-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이달의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1781년 3월 27일에 처음으로 발견했어요. 그리고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그 위치를 확인하고 메시에 목록의 최종본에 수록했지요.이 은하는 지름이 17만 광년으로 우리은하보다 커요. 약 1조 개의 별이 있는데, 이는 우리은하보다 두 배 많은 정도예요. 큰 은하답게 중력이 강해 주변에 있는 ... ...
- [수학뉴스] 코로나19 검사 비용 줄이는 방법은?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감염자를 알아냅니다.연구팀은 양성이 나온 집단의 구성원을 n×n×n 형태의 격자 위에 표시했습니다. 그리고 격자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자른 각 조각에 해당하는 집단을 추가 검사하고 결과를 확인해 감염자가 누군지 특정했습니다. 예를 들어 27명을 2×2×2 격자의 각 교차점 27개에 나눠 배치하고 ... ...
- [수학뉴스] 숫자로 본 고갱과 르누아르 풍경화의 공통점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수평선이 비슷한 위치에 있었습니다.정 교수는 “서양 풍경화의 구도와 구성 비율이 무작위하지 않고 체계적으로 변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논문은 ‘미국국립과학원회보’ 10월 12일자에 실렸습니다.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지수로 보는 블랙핑크의 상승세수학동아 l2020년 12호
- 33×52×108)÷(32×5×106)은 33-2×52-1×108-6=31×51×102, 즉 1500배라는 답을 금방 구할 수 있다. 억 단위가 넘는 숫자의 계산이 지수의 덧셈, 뺄셈으로 훨씬 간단해진 것을 느꼈을 것이다. 익숙해지면 평범한 덧셈, 뺄셈처럼 쉬워지니 재미있게 연습하고 싶다면 오른쪽 QR 코드를 찍어 지수법칙 게임을 즐겨보자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