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 메이커 스쿨] 태양이여, 밤에도 빛나라! 태양광 손전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하면 빛의 성질을 배울 수 있다”고 말했어요.손전등을 완성한 섭섭박사님은 “모듈 위에 상판을 올릴 때가 가장 어렵다”고 주의사항을 전했어요. 상판의 구멍 8개에 옆면판을 끼워야 하는데, 옆면판들이 이리저리 움직여 신중히 끼워야 하기 때문이에요. 섭섭박사님은 “옆면판을 하나씩 차근차근 ... ...
- [질문하면 답해 ZOOM] 모기에 물리면 간지러운 이유는 무엇인가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보아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 그럴 땐 주저 말고 ... 미국에서 인기 있는 반려동물이 되었지요. 이제 시리아 햄스터는 야생에 많이 남지 않아 멸종 위기에 처해있답니다 ... ...
- 전국이 장맛비에 풍덩! 역대 최장 장마, 원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장마, 원인은?Part1. 장맛비만 54일 역대급 긴 장마!Part2. 전국이 물 포화상태!Part3. 흙탕물 위에 편의점이 둥둥~!Part4. 편하면서도 안전한 대피소는?! 도움장윤규(국민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박정술(한강홍수통제소 예보통제과 시설연구사), 김용재(아이랜드건설 대표), 김미리(한국수자원공사 ... ...
- 장맛비만 54일 역대급 긴 장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거죠.집중호우는 특히 밤에 더 많이 일어났어요. 낮에는 태양열에 의해 공기가 주로 위아래로 순환하는데, 밤이 되면 이 흐름이 약해져요. 그럼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그 틈을 타고 우리나라 하늘로 들어오고, 바람이 머금은 수증기 때문에 비의 양이 많아진 거랍니다. *제트기류 장마 전선이 ... ...
- [만화뉴스] 소리로 그림을 그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확인해 봤어요. 산소와 반응하면 무색이 되는 파란색 염료를 접시에 담고 스피커 위에 올린 후 소리를 재생한 결과, 소리의 주파수로 인해 물결이 일렁이는 부분은 무색으로 바뀌었어요. 염료가 상하운동하며 공기 속 산소와 많이 만나 반응했기 때문이에요. 연구팀은 산성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계절마다 '낮'길이가 다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어둑어둑하거나 컴컴한 밤이 됐을 땐 아쿠아 로봇을 움직일 수 없냐고요? 그럴 땐 스위치를 ‘태양’ 대신 ‘배터리’가 그려진 쪽으로 옮겨주면 건전지로 가동되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답니다!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여러 개의 조그만 판들을 각각 위 또는 아래로 기울여 작동해요. 위로 기운 판들은 위쪽에 설치된 조명을 반사해 환해지고, 아래로 기운 판들은 그림자가 져서 어두워지죠. 이 명암을 이용해 거울 앞에 서 있는 사람의 형체를 만들어내는데요, 글로 읽는 것보다 영상을 보는 게 훨씬 더 신기할 거예요 ... ...
- [특집] 생물막, 제거하라! vs 활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우리 입속에는 어떤 미생물들이 생물막을 만드나요? 입속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부위는 크게 부드러운 조직과 단단한 조직으로 나뉩니다. 여기서 ‘단단한 조직’이 치아예요. 평소에는 침이 치아 표면을 얇게 덮고 있고, 침에 들어있는 미생물이 치아에 붙어 생물막을 만들죠. 이들이 만든 ... ...
- [한 장의 과학] 실수로 탄생했다?! 이종교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어왔어요. 이에 연구진은 “멸종위기에 있는 철갑상어를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스터들피시를 자연에 내보내거나 더 만들지 않겠다”고 선언했답니다 ... ...
- [과학뉴스] 유해물질 감지하는 컬러 센서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광주과학기술원 송영민 교수가 이끈 공동 연구팀이 유해물질을 감지하면 색이 변하는 센서를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바이러스 ‘M13박테리오파지’ 표면에 있는 단백질의 유전자를 변형해, 벤 ... 용어정리*ppb : 아주 적은 양이 들어 있는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며, 10억분의 1 단위다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