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d라이브러리
"
오른쪽
"(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홀로그램 필름에 다른 각도로 기록하면 한 필름에 여러 사진을 담을 수 있다. 즉 왼쪽과
오른쪽
에서 각각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다.그러나 인체 홀로그램이 널리 보급되기까지는 난관이 많다. 무엇보다 일반 사진에 비해 가격이 매우 비싸다. 한번 촬영하는데 최소 60만원 정도다. 김 사장은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사진 증거물, 잔해들이 자세히 조사됐다.그 결과 조사위원회는 챌린저호의 폭발 원인이
오른쪽
고체 로켓 추진기 아래쪽 이음매에 생긴 결함 때문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봉인에 쓴 ‘오링’(O-ring)에 결함이 있었던 탓이었다. 로켓이 추진되는 동안 이 이음매의 오링이 부식되면서 고열 가스가 ... ...
식인종가족의 강 건너기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번과 10번의 상황이 서로 정반대다. 그러니까 9번 단계부터 1번 단계까지 거꾸로 생각하면
오른쪽
에 있던 가족들이 왼쪽으로 건너가는 것과 마찬가지다.따라서 11단계에서는 7단계와 반대가 되게 아빠와 엄마가 함께 강을 건너가고, 12단계에서는 6단계와 반대가 되게 엄마 혼자 강을 건너온다. 이런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초점을 중심으로
오른쪽
시야는 왼쪽 뇌로, 왼쪽 시야는
오른쪽
뇌로 들어간다. 때문에
오른쪽
두정엽이 손상된 환자는 왼쪽 시야나 왼쪽 신체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다. 한쪽 눈이나 한쪽 시각피질에 손상을 입은 경우는 본인이 스스로 보이지 않는 것을 의식해 눈이나 고개를 돌려 보이지 않는 ... ...
밥 먹으며 상대 마음 헤아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뒤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것. 전류는 포크를 집은 왼손에서 몸을 거쳐 나이프를 잡고 있는
오른쪽
으로 흐른다. 식사중인 사람이 스트레스를 느끼면 저항이 뚝 떨어진다. 스트레스 반응으로 몸에서 땀이 나 전류의 흐름이 쉬워지기 때문.라르손은 “상대방인 편한지 불편한지를 눈치채는 것이 데이트 ... ...
서양 200년 앞선 세계 최고의 배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지난해 12월 목포 국립해양유물전시관에서 대중에 공개됐다. 개펄에 파묻혀 있던 배의
오른쪽
은 제 모습대로 복원됐지만 사라진 왼쪽이나 앞과 뒷 부분은 철골로 뼈대를 만들었다.특히 복원 과정에서 신안 보물선이 서양 조선 기술보다 200년 가까이 앞선 세계 최고 수준의 배라는 사실이 새로 ... ...
은하 중심에서 블랙홀 무리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일어나며 X선이 방출된다. 따라서 관측되는 빛의 세기가 가스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오른쪽
사진에서 A 지점의 밝기가 관측일에 따라 차이가 남을 볼 수 있다.이번 관측을 바탕으로 계산한 결과 사기타리우스A* 주변에는 1만여개의 작은 블랙홀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고 연구자들은 덧붙였다 ... ...
고양이들의 나이팅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한답니다. 밍키와 동자 그리고 애기 1왼쪽의 얼굴이 까만 고양이가 밍키,
오른쪽
의 매서운 눈빛을 가진 고양이가 동자랍니다.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새끼고양이는 밍키의 아기지요. 밍키는 가슴뼈에 이상이 있어 버려졌는데 누나의 보살핌으로 건강해져 새끼까지 낳았답니다. 하지만 만성 장염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오른쪽
으로 5m 움직였으며, 66년에는 샌프란시스코 남동쪽 일부가 파크필드 지진으로
오른쪽
으로 움직였다 적출(摘出)한 기관이나 조직을 장시간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해 매액(媒液)으로 사용되는 염류의 혼합용액 그 동물의 혈청 등 체액과 비슷한 이온조성 · 삼투압 · pH를 가지도록 ... ...
얼굴인식 메커니즘 밝혀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이 영역이 얼굴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귀 뒤쪽에 있는 ‘
오른쪽
방추이랑’은 세번째 쌍을 보았을 때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두 대상을 서로 다른 사람으로 인식할 때 민감한 것이다. 한편 뇌의 앞쪽에 있는 ‘앞관자피질’은 참가자들이 대상에 친숙할수록 더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