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d라이브러리
"
오른쪽
"(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레고 마인드스톰을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재미를 누릴 수 있다.이어서 컴퓨터로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흰 선을 네 번씩 지나고,
오른쪽
으로 돌아 2.5초 동안 직진하고, 흰 선 끝에 멈춰 서고, 팔을 뻗어 목표물을 잡아라’는 내용이다. 프로그램 작성은 쉽다. ‘흰 선 지나기’ ‘우회전’ ‘직진’ ‘정지’ ‘팔 뻗기’ 아이콘을 순서대로 ... ...
우주에서 펼쳐진 별들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구조를 띠고 있으며 날개를 접었다 폈다 하는 쓸데없는 동작을 하는가”라고 지적했다.
오른쪽
으로 도는 비행기가 왼쪽 날개를 드는 쓸데 없는 동작도 눈에 띄었다. 공기 속을 날아다니는 비행기와 우주선을 혼동하고 있는 셈이다.장 교수는 “우주선 안에서 사람들이 너무나 자연스럽게 ... ...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의도적으로
오른쪽
편애 대신 ‘왼쪽 편애’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공포영화에서는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카메라를 이동시켜 관객에게 낯선 느낌을 불러일으키고 이를 통해 공포심을 유발하는 수법을 쓰기도 한다. 익숙하지 않은 움직임에 관객은 불편함을 느끼고 이것이 적절히 공포심을 ... ...
검은 조직 '까마케롬다만드러'의 음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가운데에 있는 양초는‘한 시간 삼십 분 간격’으로
오른쪽
으로 20㎝씩 움직인다. 책상의
오른쪽
맨 끝에 양초가 오면 다시 같은 시간 간격으로 왼쪽으로 움직인다. 지금 시간은 오전 11시 30분. 다음날 새벽 2시 30분이 되면 책상 가운데에 놓인 양초의 그림자는 어디에 위치하겠는가? 어때? 아까 낸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항생제 발견에 맞먹는 사건이다.”세계적 복제 전문가인 미국의 섀튼 교수(사진
오른쪽
)는 황 교수팀의 성과를 이렇게 격찬했다. 미국 USA투데이, 영국 BBC 방송, 일본 아사히신문 등 세계 각국의 언론은 앞다퉈 황 교수의 성과를 톱기사로 대서특필했다. BBC는 “무엇보다 환자의 몸 안에서 부작용을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전달되는 것을 방해한다. 이때
오른쪽
과 왼쪽 귀에 도달하는 소리 크기의 차이로 소리가
오른쪽
에서 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것이다.이와 같은 분석이 내이에서 직접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내이에서 소리 정보의 차이를 뇌간에 위치한 상올리브핵과 뇌간 위에 있는 하구로 전달하면 이곳에서 ... ...
그림자 마왕 '네가 머래도 다비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❷번 외계인은 1m, ❸번 외계인은 80㎝, ❹번 외계인은 1m 20㎝로 ❹번 외계인이 가장 크다.
오른쪽
그림에서 한 칸의 크기는20㎝다. 그림자 마왕 뒤의 또 다른 검은 그림자문제를 모두 푼 썰렁 홈즈는 내친김에 그림자 마왕‘네가머래도 다비처’의 정체까지 밝혀 냈다. 지구 정복을 꿈꾸었던 그림자 ... ...
과학으로 더불어 사는 문화를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결과 생긴 ‘직업병’ 때문이기도 하다. 아직도 컴퓨터 작업을 많이 하다 보니 최근
오른쪽
어깨에도 ‘직업병’이 번져 요즘은 가끔 왼손으로 마우스를 다룬다. 나 이사장은 ‘직업병’마저 애써 숨기려 하지 않는다. 당당하다. 과학은 사회문화의 기반“과학도 음악이나 미술처럼 사회문화의 ... ...
뇌 속에 감춰진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자주 내 왼쪽을 바라본다면 그는 지금 기분이 좋은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오른쪽
을 자주 본다면 기분이 나쁜 상태다. 좌뇌는 긍정적인 정서, 우뇌는 부정적인 정서를 처리하기 때문이다. 각각의 뇌는 반대쪽 눈의 근육을 활발하게 만들고 시선은 그 쪽으로 치우친다. 뇌를 알면 삶이 깊어진다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간질 치료를 위해 뇌의 좌반구를 절제한 소년의 경우 원래 왼쪽 뇌에 있던 언어영역이
오른쪽
뇌로 이동하면서 언어기능이 빠르게 회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뇌혈관 파괴로 언어기능을 상실한 노인의 경우에는 회복이 상당히 느리다. 어릴수록 시냅스 가소성이 활발해 기억하고 있던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