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열"(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재 막는 과학 우리 집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뿌옇게 연기가 나고 있었어요. 어린이들은 집 안에서 불이 나자 화장실로 대피해 창문을 열고, 밖에 있는 사람들에게 구조요청을 했어요. 아주 침착하게 초기 대응을 잘 한 거죠. 창문을 뜯어내고 어린이들을 무사히 구출했을 때 ‘소방관이 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Q. 만약 집에 불이 ...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달하는 거대한 석고 결정이 놀랍네요! 멕시코에 있는데, 내부 온도가 매우 뜨거워서 방열복을 입어야만 한다네요.“동굴이라고 하면 어둡고 눅눅한 곳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신기한 게 많다니!”“아니, 이게 뭐야! 동굴사랑탐사대, 1기 수료?! 거대한 명예가 이거였어? 어차피 이렇게 된 거, ...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한다. 선풍기로 연기를 날리듯, 공기순환용 팬이 그 역할을 한다. 그런데 팬이 불의 열기를 견디지 못하면 정작 화재 때 무용지물이니 고민이 많았다. MSFC-398은 400℃의 높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고속으로 작동해도 견딜 수 있는 튼튼한 재료였기에, 곧 터널에 널리 이용됐다.터널을 통과하자 멀리서 ... ...
- PART3. 4D 프린팅의 마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형상기억합금과 전기회로를 내장한 종이접기 로봇을 3D 프린터로 제작했다. 전기를 흘려 열을 내면 형상기억합금이 움직이면서 개구리 모양으로 스스로 변신한다(사진). 차 디자인, 내 기분 맞춰 달라진다 이들에 질세라 스카일러 티비츠 MIT 교수도 독자적으로 연구를 계속해왔다. 2011년 2월 ... ...
-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다듬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3D 프린팅 기술은 지금도 혁신을 거듭하는 중이다. 양동열 교수는 “기억소재 같은 새로운 재료들이 3D 프린팅에 쓰이는 추세”라며 “한번 만들어진 뒤 시간이나 환경조건에 맞게 모양이 변하는 물체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가 말한 기술은 바로 2013년 세상에 ... ...
- 세계 최초 로봇 호텔, 일본에서 오픈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로봇과 함께 사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는 걸까. 영국 일간지 텔레그라프는 일본 나가사키현 소재 테마파크인 하우스텐보스에 로봇 직원이 활약하는 ‘헨나(Henn-na) 호 ... 텔라그라프와의 인터뷰에서 “만약 이 호텔이 성공한다면, 2016년에 또 다른 로봇 호텔을 열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화산 오늘도 뜨겁게 부글부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이 로봇의 이름은 ‘볼케이노봇1(VolcanoBot1)’. 뜨거운 마그마가 지나간 자리에 생긴 균열을 확인하고 땅 속에서 마그마가 어떻게 이동하는지 대해 자세한 정보를 전하는 임무를 갖고 있지요. 볼케이노봇1보다 작은 볼케이노봇2도 화산을 향해 출동할 중비를 마쳤다고 하네요. 볼케이노봇 같은 탐사 ... ...
- 3화 미꾸라지의 수열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빠르게 지하 이분의 일층에 적응해 갔다. 아침에 일어나면 삼촌과 함께 붉은 벽을 열고 나가 학교로 갔고, 어두워지면 다시 붉은 벽 안으로 들어왔다. 땅 아래서 잔다는 것 말곤 크게 달라진 게 없었다. 지하 생활이 일상이 되자 찬이는 슬슬 심심해지기 시작했다.처음엔 그냥 오 선생이나 삼촌과 함께 ... ...
- Part 2 수학이 만든 “결혼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만 5000명 중 1명꼴로 나타난다. 먼 친척일수록, 즉 남남일수록 확률이 크게 낮아진다.물론 열성 유전병 유전자를 갖고 있다고 해서 바로 다음 세대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 유전자를 가진 사람끼리 여러 세대에 걸쳐 반복적으로 결혼해서 자식을 낳으면 유전병을 걱정할 만큼 ... ...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순환해류가 생겼다. 남극이 바닷물의 흐름에서 고립됐다는 뜻이다. 해류는 남극대륙의 열을 저위도로 퍼날랐다. 대신 난류가 심층수의 형태로 다가와 수분을 공급하자 대륙에 눈이 쌓이기 시작했다. 마침 파나마 지역이 융기하며 아메리카 대륙은 남북을 잇는 거대한 띠 모양이 됐다. 태평양과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