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수 있었다. 입학하기도 전에 파이의 축제 부스에 다녀갔다는 1학년 박민정 학생이 입을
열
었다. “선배들의 부스를 체험해 보고, 정말 수학이 재미있게 느껴졌어요. 직접 운영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입학하자마자 동아리에 가입했죠.” 이제 막 활동을 시작한 박민정 학생은 올해 수학축제를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수요량이 어마어마하게 늘어났지요. 석유는 지질시대에 살았던 식물이 지하 깊은 곳에서
열
과 압력을 받아 액체 상태로 변성된 지하 자원이에요. 얕게는 수십m부터 깊게는 수km 땅속에 있는 빈 공간에 모여 있지요. 이 석유를 꺼내기 위해서는 긴 관을 석유가 있는 곳까지 꽂아야 해요. 이 관을 ... ...
여름에는 누구나 수학 성적이 떨어진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뇌가 생각을 할 때 많은
열
이 발생하는데, 기온이 높아지면
열
처리에 어려움이 생기는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지빈 교수는 기온이 높아지면 일시적으로 수학 성적이 나빠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장기적인 학습 성과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13배나 먼 거리까지 관측할 수 있답니다.제임스 웹은 적외선을 주로 관측해요. 적외선은
열
을 내는 물체라면 어디서든 나오는 파장이에요. 관측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태양빛의 방해가 적고, 온도가 낮은 150만km 상공의 ‘라그랑주 점’에 머물 예정이에요. 또 몸체의 온도를 영하 233.15℃까지 낮추고, ... ...
[지식] 무엇이든 붙여 드립니다~!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제트 비행기의 투명 덮개로 사용할 플라스틱을 만드는 일이었다. 비행기 부품이므로
열
이나 압력에 잘 견디는 물질을 써야 했다. 이미 시중에는 폴리아크릴레이트라는 성분으로 만들어진 덮개가 있었다. 쿠버는 이왕이면 종류가 다른 아크릴레이트 물질로 새로운 덮개를 만들고 싶었다. 본격적으로 ...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중이다. 기존에는 반도체 양쪽을 기 계가 물리적으로 잡고 있었는데 자칫하면 기판에 균
열
이 생길 수 있다. 반도체 밑에 딱 붙는 패드를 사용 하고 나서는 이런 위험이 사라졌다. “지금까지는 연구 자체가 재밌어서 했는데, 앞으로는 실제 산업이나 생 활에 적용하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입니다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크리스퍼는 단백질 보다 훨씬 작은 RNA가 그 역할을 한다. DNA 100개만 바꾸면 전혀 다른 서
열
특이성을 가 지는 유전자 가위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모든 생물의 유전체를 수정할 수 있게 된 인간크리스퍼의 발견은 유전자 수정 붐을 일으켰다. 가장 먼저 2013년 12월 동물 세포에서 유전자 수정이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가는 비가 흩뿌리던 4월 29일 오후 7시. 이따금 갈매기 울음 소리만 들려오던 충남 태안 신진항의 한 횟집이 갑자기 시끌벅적댔다. "가까이 가보니 대접이 엎 ... 연구소로 돌아갔다. 그러나 곧 또다시 바다로 돌아올 터였다. 우리나라 수중과학의 미래를
열
어갈 크랩스터의 선전을 기원한다 ... ...
인공 빛에 늘어나는 허리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많이 증가했다. 연구팀은 체중이 증가한 원인이 몸속에서 지방산과 포도당 등 영양소를
열
에너지로 바꾸는 에너지 변환율이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11일자에 실렸다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많은 태양물리학자 들은 작은 규모의 자력선 재결합 현상이 일어나 자기력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전환됐기 때문으로 보고 있 다(이를 나노플레어라고 한다). 작년 ‘사이언스’ 논문 은 이런 현상들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태양관 측선 이리스 호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를 담고 있다.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