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름다움
한가운데
중심
중앙
복판
중도
중추
스페셜
"
미
"(으)로 총 1,499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에이즈 환자 목숨 구한 면역학자 ‘윌리엄 폴’
2016.01.07
중요한 분자로 밝혀졌다. 한편 1980년대 에이즈가 창궐하면서 보건위기에 빠진
미
국 정부는 1994년 NIH 산하에 에이즈연구사무국을 만들고 폴을 초대 국장으로 임명했다. 폴은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고 최선의 치료법을 찾았고 그 결과 강력한 항레트로바이러스요법이 확립돼 에이즈 환자 수백만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3)세포의 신호전달체계를 밝힌 세포생물학자 '앨런 홀'
2016.01.03
LMCB)로 옮긴 뒤 연구소가 자리를 잡는데 큰 역할을 했고 2000년 연구소장이 됐다. 2006년
미
국 메모리얼슬로언케터링암센터로 옮긴 뒤에도 LMCB와 관계를 유지하며 양국 연구자들의 교류에 힘을 쏟았다. 30년여에 걸친 홀의 연구는 세포의 신호전달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큰 기여를 했을 뿐 아니라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대멸종설을 주장한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라우프’
2016.01.02
‘멸종(Extinction, 1991)도 냈다(둘 다
미
번역). 이들 책에서 라우프는 대량멸종이 진화에
미
친 영향이 큼을 보여주면서 대량멸종이 유전자가 나빠서라기보다는 불운의 결과일수 있다고 주장했다. ※ 필자소개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게임이론으로 노벨상 받은 수학자 존 내쉬
2015.12.30
그리고 1994년 노벨상을 받았다. 저널리스트 실비아 네이사는 내쉬의 삶에 큰 흥
미
를 느껴 오랜 취재 끝에 1998년 논픽션 ‘뷰티풀마인드’를 출간했고 3년 뒤 영화화됐다. 노벨상 수상과 영화로 내쉬는 정신 상태가 한층 더 나아졌고 이혼 뒤에도 줄곧 내쉬를 돌봤던 전처와 2001년 재혼했다. 그리고 ... ...
양자전송의 원조를 보여준 영화 '스타게이트(Stargate, 1994)'
IBS
l
2015.12.30
인문학적 발견을 한다. 소 연구위원은 “소통의 기본은 강자가 약자에게 손을 내
미
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약자가 강자에게 손을 뻗어 봤자 강자가 주목하지 않으면 아무도 신경 쓰지 않기 때문”이라며 “이 영화에는 지금 같은 시대에 필요한 소양이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스타게이트와 함께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왼손잡이 DNA 존재를 밝힌 생물학자 알렉산더 리치
2015.12.29
이에 대해 폴링은 “이 친구가 한 일은 별로 없지만 많이 배웠을 것”이라고 촌평했다.
미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 물리화학분과에 취직한 리치는 1955년 영국 캐번디시연구소로 건너가 DNA이중나선구조를 밝힌 프랜시스 크릭과 함께 단백질 폴리글리신Ⅱ와 콜라겐의 구조를 규명했다. NIMH로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
2015.12.07
메트포르민의 노화지연작용메커니즘은 아직 불분명한데, 세포내 에너지발전소인
미
토콘드리아를 건드리는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염증을 억제하고 성장인자의 분비를 떨어뜨리고 산화로 인한 손상을 줄여 결국 세포노화가 지연된다. TAME(Targeting Aging with Metformin)라는 약자로 불리는 ... ...
“내시 중에 대머리 없었다”...남성호르몬 역설을 아시나요?
2015.11.16
때 모낭은 손상을 알리는 신호물질 CCL2를 내놓는다. 뽑힌 털이 많지 않을 경우 이 신호가
미
약해 생리반응을 일으키지 못한다. 그런데 털이 뽑힌 모낭의 빈도가 어느 선을 넘게 되면 이 신호가 합쳐져 우리 몸은 피부가 손상을 입었다고 판단해 이를 복구하는 메커니즘을 작동시킨다는 것. 즉 M ... ...
초간편 진단키트로 해양환경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와편모조류에 반응하여 색상을 나타낸 곳이다. 염 박사는 “선박평형수 내의 유해
미
세조류의 검출을 신속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진단키트의 형식으로 저가의 비용으로 매우 간편하게 검출 가능하므로 시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진단용 키트를 유해생물 ... ...
갑상샘암, 신규원전과 관련이 있을까?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06
말했다. 갑상샘암은 검진 빈도가 높을수록 많이 발견되는 대표적인 암이다. 초음파나
미
세침흡인 같은 의료기술이 발달하고 병리학 검사가 세밀해지면서 감상샘암 발생률 증가에 기여했다는 의견도 있다. 최근에는 연구결과 해석의 차이로 인해 이슈가 된 경우도 있다. 최근 서울대 백도명 교수가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