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지침
지상
그라운드
땅
장소
근거
뉴스
"
지표
"(으)로 총 1,93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과기연구회 "출연연 감사인원 늘릴까 말까" 감사시스템 개선 놓고 '엇박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3.13
권고기준이기는 하지만 감사실 인력 증원에 대해 과기정통부 자체감사 활동실적 평가
지표
에도 반영해 점검한다는 내용도 있어 출연연 입장에서는 기존 행정 인력을 감사실에 배치해야 하는 상황이다. 과기정통부의 이런 방안은 출연연 행정 통합과 선진화를 위해 통합 감사 시스템 ... ...
[의학게시판] 고대 구로병원팀 자궁근종 예측하는
지표
발굴에 성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김용진 교수는 서울대병원 산부인과팀과 함께 자궁근종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
발굴에 성공했다. 분석 결과 자궁근종 조직과, 정상 자궁근육 조직에서 추출한 마이크로RNA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자궁 내막과 외부에서 성장하는 근종의 마이크로RNA 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자궁근종을 조기에 ... ...
'국책연구과제''포항제철' 산파 윤여경 전 KIST 부소장 타계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동원해 합리성을 증명했다. 거시적 분석으로 인당 GNP, 인당 철강재 소비량 등 여러
지표
를 일본 과거 자료와 비교 검토해 한국의 상황이 일본에 20~25년 뒤진 것으로 판단했다. 이를 토대로 국내 철강재 수요를 작성했더니 1970년 말에는 수요가 100만t 이 넘는 것으로 분석됐다. 당시 국제적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당뇨병'은 질병인가 상술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연구결과를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연구가 A1c가 아닌 다른 혈당
지표
를 썼을 뿐 아니라 환자군이 편중돼있다며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상태다. 전문가들은 전당뇨병의 2%만 당뇨로 이어진다고 보고 있다. 2018년 의학논문 평가지 ‘코크런 라이브러리’는 103개의 전당뇨병 관련 ... ...
"승객 1인당 탄소배출 1위 항공사는 대한항공" 英 보고서
동아사이언스
l
2019.03.07
부풀려졌다는 점이다. 대한항공 측은 "평가에 사용된
지표
는 화물기 운송량을 제외한
지표
라 화물 운송 비중이 큰 대한항공에 불리하며 전체 운항 중 국내와 중국, 일본을 비롯한 단거리 운항 비중은 약 65%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에 따르면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기준 대한항공의 화물운송량은 세계 ... ...
얼마나 아픈지 콕…통증 예측 정확도 97% 모델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1
측정했다. 뇌혈류나 뇌파 활성도(뇌 기능 연결성), 심박변이율을 관찰해 세 가지
지표
를 모두 데이터로 활용했다. 그리고 기계학습을 통해 모델이 이 데이터들을 학습하고 통증 정도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거나 예측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통증 예측 모델은 환자의 통증 ... ...
청백색 조명 쬐면 아침 잠 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주관적
지표
를 동시에 관찰했다. 그 결과 빛의 색 변화에 따라 감성 등을 나타낸 주관적
지표
와 멜라토닌 분비에 변화가 일어남을 확인했다. 석현정 교수는 “단순히 조명을 다양하게 바꾸며 구성원들을 편하게 쉬게 해주려는 의도에서 시작해 호텔이나 레스토랑, 모닥불 등 조명에서는 ... ...
"미세먼지,20여년간 감소 추세…인식 격차 줄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2.26
볼 수 있다”며 “중국은 자료가 선진국 수준으로 도달했고 위성 등을 통한 일부 연구
지표
는 우리보다 앞서 있지만 한국 과학자들도 과학적으로 중국과 논의할 수 있는 시기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이정용 환경부 푸른하늘기획과 팀장이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 추진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
[이강운의 곤충記]아가미 있는 곤충의 겨울나기
2019.02.20
기관 아가미(SEM) 살충제와 오염 물질로 생성된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산성비의 형태로
지표
로 내려와 광범위한 지역의 호수와 강을 산성화 시켜 생물을 죽게 하고 결국에는 독성효과를 나타내는 생물농축이 일어난다. 물 생태계를 대표하는 얼굴들인 수서곤충이 사라진다는 사실은 수서곤충에 ... ...
한국형 인공태양 “2025년 1억도 플라스마 5분 유지” 향해 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가두는 성능이 두 배 증가하는 현상으로, 핵융합 장치의 운전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다. 플라스마 발생 시 토카막 내부의 모습. 밝게 빛나는 부분이 사실은 온도가 더 낮다. 국가핵융합연구소 제공 핵융합 상용화에 필요한 가장 큰 난제로 꼽히던 플라스마 경계면불안정현상(ELM)을 2011년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