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지침
지상
그라운드
땅
장소
근거
뉴스
"
지표
"(으)로 총 1,935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리안 1호 해양관측 데이터로 ‘한반도 지구온난화 영향’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0
활용해 한반도 주변의 지구온난화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지표
가 아닌 우주에서 플랑크톤의 변화를 장기간 관측해 해양의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 변화를 분석하고 기후 변화 요인을 찾아내겠다는 계획이다. 2010년 6월 발사된 천리안 1호는 한반도 3만5800km 상공에 머물며 기상 ... ...
'리틀포레스트는 허구?' 도시보다 농촌 비만 더 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연구에 참여한 김정선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소득 등 사회경제적
지표
가 동일하더라도 쉽게 식품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없을 경우 영양 섭취가 떨어지고 비만도가 높아진다”며 “한국에서 가장 웰빙 지역일 것 같은 제주도가 실은 한국에서 가장 비만도가 높은 지역 중 ... ...
SF까지 넘보는 대륙의 힘 '유랑지구'
2019.05.04
추진기와 함께 사람들이 살아갈 지하도시를 건설합니다. 지구가 태양에서 멀어지면
지표
면이 얼어붙어 더 이상 지상에서는 살 수 없을 테니까요. 충돌 37시간 전, 목성을 탈출하라 새로운 태양을 찾아 유랑하던 지구는 어느날 목성과 충돌할 위기에 처한다. 목성과 가까이 끌려갈수록 목성의 ... ...
[화보]우주탐사선들이 43년간 포착한 화성의 일출과 일몰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엘리시움 평원 지평선에서 화성의 일출(왼쪽)과 일몰(오른쪽)이 포착됐다. 화성시각 오전 5시30분과 오후 6시30분 촬영됐다. NASA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 ... 달리 푸른색이다. 화성의 대기가 지구와 달라 상대적으로 파장이 짧은 청색빛 일부만 먼지 뚫고
지표
면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① ADHD 진단하는 '로봇짱'
동아사이언스
l
2019.05.01
머리를 젓는 등 부산스러운 행동에 대한 운동량이나 패턴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지표
가 없기 때문이다. 안 교수는 "물론 손목에 차는 센서(액티그래프) 등으로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지만 미세한 움직임을 측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실용성이 떨어진다"며 "로봇짱은 주변에 설치된 센서로 ... ...
국양 DGIST총장 “창의성 중시하는 DGIST 만들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학문과 창의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모습”이라며 "학생들의 취업이나 단순한 성과
지표
달성을 넘어서 창의적 연구와 진리추구를 통해 인류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바로 대학나아가 교육·연구·산학협력을 통하여 지식의 진보와 지역 및 국가, 그리고 국제 사회에 이바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은 왜 편리한 날개를 버렸나
2019.04.24
날개를 완전히 떼버리고 동력구조를 다리로만 집중시킨 특이한 구조를 가지는
지표
성 곤충도 있다. 각다귀 평균곤과 감각기(SEM) 더 빠르게, 더 정확하게로만 진화할 줄 알았는데 편리하고 효율적인 날개를 버리고 발로 이동하는 방법을 택한 놈들로 곤충의 가계도에서 새로운 가지가 돋아났다. ... ...
화성에서도 지진 일어난다...첫 지진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지역의 흔한 작은 지진 중 하나였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지진은 화성의
지표
가 매우 조용하기에 잡을 수 있었다. 이번 신호보다 작은 세 차례의 다른 신호도 있었다. 지난달 14일과 이달 10일, 11일 세 차례 신호가 감지됐으나 모두 6일 신호보다도 작아 지진임이 명확히 판독되지 않았다. 화성의 ... ...
‘유전체 표준’ 세계 두 번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양 책임연구원은 “만약 어느 두 기관에서 유전체 표준물질을 해독했는데, 만약 280만 개
지표
가운데 각각 200만 개와 279만 개가 일치했다면 279만 개가 일치한 기관이 더 표준에 가깝게 정밀하게 해독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280만 개는 NIST의 서양인 유전체 표준보다 30% 많은 수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계 기원 간직한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표면 흙을 모으는 임무에 성공했다. 이달 5일에는 소행성에 폭발물을 발사해 구멍을 내
지표
아래 흙을 모으는 임무에 성공했다. 하야부사2는 채집한 시료를 갖고 2020년 12월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다. 이번에 ‘사이언스’에 공개한 세 편의 연구결과는 하야부사2가 류구의 주변을 돌며 관측한 첫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