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힘
능력
재능
기량
수완
실력
권리
뉴스
"
역량
"(으)로 총 2,569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학의 과거와 미래]⑨시장은 실패해도 시장의 방식은 실패하지 않는다 "평가하지 말고 공개하라"
2020.11.24
교육 내용을 ‘공개’할 수 있는 여러가지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 우리나라 대학의 연구
역량
향상이 개별 교수의 연구 실적 ‘공개’에서 시작 되었듯이, 개별 교수의 온라인 교육 내용을 일부라도 ‘공개’하는 것은 어떤 방식보다도 효과적으로 대학 교육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
식약처, WHO의 긴급사용승인 신청 코로나백신 심사에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20.11.22
노력에 기여하고 국제적 위상이 올라갈 것”이라며 “코로나19 백신 허가에 대한 경험과
역량
을 쌓아 향후 한국의 백신허가 과정에서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심사에 몇 개국이나 참여하는지 등 구체적인 정보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 ...
[오늘의 뉴스픽]잘 포장된 차별
동아사이언스
l
2020.11.19
내버려둔 일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세심하지 못한 정책은 결과적으로 현장의 연구
역량
약화와 노노 갈등만 남깁니다. 코로나19로 위기를 맞은 대학의 연구원 처우 문제는 여전히 해결점이 보이지 않습니다. 여기서 걱정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 지난 9월 퓨리서치센터는 전 세계 20개국 ... ...
'글로벌 소재 강국 실현' 한국재료연구원 20일 개원
연합뉴스
l
2020.11.19
대응해 소재 국산화를 지속해서 추진한다. 또 여러 곳에 분산된 국내 소재 분야 연구
역량
을 결집하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한다. 이정환 초대 원장은 "소재 전문 종합연구기관으로 제대로 뿌리내리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미래는 첨단소재 기술력에 달려 있다"며 "최선을 다해 연구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지금도 진행형인 과학기술계의 비정규직 차별
2020.11.19
가해, 현재 대부분의 과학기술계 정출연은 비정상적인 정규직화로 인한 예산부족과 연구
역량
저하를 겪고 있다. 정부의 입김이 제대로 닿지 않는 대학의 연구개발 분야는 여전히 비정규직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보면, 현 정부의 과학기술계 인력정책이 정권의 이념을 지키려는 생각으로 ... ...
삼성바이오·셀트리온 등 바이오기업 2023년까지 10조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20.11.18
강화에 총력을 기울인다. 이날 정부가 발표한 ‘바이오헬스 산업 사업화 촉진 및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은 ‘바이오 산업 사업화 촉진 및 지역 기반 고도화 전략’과 ‘바이오 연구개발 고도화 전략’으로 크게 구성된다. 정부는 ‘바이오 산업 사업화 촉진 및 지역 기반 고도화 ... ...
K-바이오, 전 세계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생산기지로 떠올랐다
연합뉴스
l
2020.11.18
것도 긍정적 요인이다. 이재국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전무는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역량
을 갖춘 건 물론 'K-바이오'에 대한 신뢰가 커지고 인지도가 높아진 덕분"이라며 "아시아 시장의 전진기지로 충분한 경쟁력을 갖췄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 ...
[과기장관회의]민간 주도 R&D 투자혁신기획단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부의장)은 “정부 R&D 투자와 함께 민간 투자와 연구
역량
도 크게 향상된 만큼 정부와 민간이 협업해 꼭 필요한 성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새로운 패러다임 정립과 투자시스템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과기장관회의]민간 R&D 수요·시장 눈높이 맞춘 R&D 투자시스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지원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부의장)은 “정부 R&D 투자와 함께 민간의 투자와 연구
역량
도 크게 늘어났다”라며 “부처 간 이어달리기 등 주요 R&D 정책을 통해 연구성과를 확산하고 국민체감형·실용화 연구를 확대하며 해외 우수 연구자가 안정적으로 국내에 정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⑧유럽 대학의 쇠락에서 얻은 교훈, 재정확보가 중요하다
2020.11.17
대학생 1인당 비용 지출은 유럽보다도 열악한 상황이다. 투자를 통해 대학의 연구
역량
이 발전하고, 규모가 확대되어 대학의 연결 기능이 강화된다면, 대학은 최신 국가 경제성장 이론인 ‘신성장 이론’의 핵심인 지식의 총량 증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가정은 하버드대 랜트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