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432건 검색되었습니다.
복어 독 없애는 플라스마
과학동아
l
2014.04.16
한계가 있었다. 이번에 연구진이 개발한 대기압 플라스마는 이런 설비 없이도 고
밀도
의 플라스마를 연속적으로 만들 수 있다. 특히 실내 온도~100도 정도의 저온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손으로 접촉할 수 있고 방전 현상으로 인한 손상도 없어 생체 표면이나 식품 살균 등에 다양하게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목성을 지나 7년을 여행한 뒤 천왕성에 접근해 고리를 또 관측한 것이다). 고리가 얇고
밀도
도 낮아 희미했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관측하지 못했던 것이다. 아무튼 보이저 2호의 목성 고리 발견은 예상치 못한 수확이었다. 1989년 태양계 맨 바깥 행성인 해왕성(명왕성은 퇴출됐으므로)에서도 ... ...
[채널A] 빌 클린턴 “별에서 온다고 놀라진 않을 것”
채널A
l
2014.04.07
로스웰 지역)의 자료를 모두 뒤졌지만 외계인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태양이 있고
밀도
가 충분히 높은 행성에는 얼마든지 생명체가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과학자들은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이 우리 은하에만 400억 개 가량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토성의 달, ... ...
건망증 대명사 까마귀 '환골탈태기'
과학동아
l
2014.04.01
심리학과와 뉴질랜드 오클랜드대 심리학과 합동 연구팀은 제가 무게나 부피,
밀도
와 같은 자연계 인과관계를 이해하는지 알아봤습니다. 실린더 속에 물을 담아 놓고 먹이를 띄워 놓은 후, 주변의 물체를 집어넣어 수위를 높인 뒤 먹이를 먹을 수 있는지 알아본 것이죠. 연구팀이 총 6가지 주제를 ... ...
진주 운석 궤도·크기 밝혀질까
과학동아
l
2014.03.28
추정된다고 1차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화구란 비교적 커다란 유성이 다 타지 않고 공기
밀도
가 높은 대기권 저층부에 도달해 충격파와 함께 앞부분이 가열돼 밝게 빛나는 유성이다. 최영준 천문연 우주감시센터 선임연구원은 “현재 차량 블랙박스에 찍힌 자료들을 토대로 연구 중”이라며 ... ...
태초에 우주는 급팽창했노라!
동아사이언스
l
2014.03.25
있는지도 모르며, 언젠가 아기 우주를 잉태할지도 모른다. 다중우주에서는 우주마다
밀도
가 달라 운명이 다르고 물리법칙이 다르며 생명체의 존재 여부도 다르다. 우리는 우리 우주가 이런 탐구를 할 수 있는 생명체를 탄생시킬 정도로 미세 조정된 것(fine-tuning)에 감사해야 할 것 같다 ... ...
우주의 역사, 어디까지 밝혀졌나
과학동아
l
2014.03.21
너무 높고 뜨거워 빛이 그 사이를 뚫고 나올 수가 없었던 것이다. 우주가 충분히 식고
밀도
가 낮아지면서 빛 입자인 광자는 비로소 직진운동을 하기 시작했고 이때 최초의 빛이 우주에서 깨어났다. 이 최초 빛의 흔적이 바로 우주배경복사다. 우주배경복사를 통해 우주가 완벽하지는 않지만 ... ...
‘별에서 온 그대’의 정체는 운석?
동아사이언스
l
2014.03.18
사라진다. 자갈만 한 것들은 더 낮은 고도까지 내려오는데, 하층 대기는 상층 대기보다
밀도
가 더 높기 때문에 충격파가 발생하며 앞부분이 뜨겁게 가열되고 껍질이 벗겨지며 불꽃이 튀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이 바로 화구다. 화구 중에서 밝은 것을 만들어내는 유성체는 많은 경우 지상에까지 ... ...
"하루에 지구로 날아오는 유성만 100톤"
동아사이언스
l
2014.03.11
날아와 충돌하는 유성을 다 합치면 무게가 100톤에 이른다”며 “태양계 자체에 먼지
밀도
가 높은 공간이 존재할 뿐 아니라 혜성 꼬리가 남기고 간 먼지도 수시로 지구와 충돌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지구 표면적의 70%가 바다이고, 육지 내 인구 밀접지역도 한정돼 있다보니 유성을 ... ...
기후변화는 거짓말? 동해·남해 오히려 차가워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7
3~5년 늦은 1992~1993년 수심 200m 기준 5도에서 1~2도 수준까지 떨어지며 더 차갑게 변했다.
밀도
도 0.02%가량 증가했다. 그 결과 우점종이 12도 안팎에서 서식하는 말쥐치에서 2~10도에서 사는 청어와 대구로 바뀌었다. - 정석근 교수 제공 이렇게 바닷속 우점종이 바뀐 것은 해수온도 변화에 따른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