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432건 검색되었습니다.
ECR이 만든 푸른색 플라스마 별
2014.08.25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강한 자기장에서 전자가 공명하며 회전하는 현상을 이용해 고
밀도
의 플라스마를 만든다. 연구진은 주파수가 28GHz에 이르는 마이크로파와 높은 자기장을 이용해 세계 최고 사양의 ECR 이온원 장치를 자체 개발했다. 이 정도 사양의 장치는 현재까지 미국과 일본, ... ...
석촌 싱크홀, 지하철 9호선 공사 탓?
2014.08.14
방법이 많이 쓰인다.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는 지반에서 흙 입자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밀도
가 낮아져 강도가 약해진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GPR 장비를 이용해 땅 속으로 전자기파를 쏴서 반사 또는 투과된 파의 속도와 파형을 분석하면 지하수위와 구멍의 위치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도로가 처진 ... ...
우주선 연료 ‘액체수소’ 저장 기술, 우리 손으로 개발
과학동아
l
2014.07.01
“액체수소 저장기술은 기존 기체를 압축하는 기술보다 훨씬 안전하다”며 “에너지
밀도
가 2배 이상 높아 수소자동차의 경우 한 번 충전으로 2배 이상 갈 수 있는 것 또한 장점”이라고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이 기술을 상용화 하기 위한 벤처기업 ‘하이리움’을 설립했으며 관련 기술을 ... ...
당신의 ‘파도 지수’는 몇 점?
과학동아
l
2014.06.27
짜리 전구 250개를 켤 수 있는 정도다. 변도성 국립해양조사원 연구관은 “물은 공기보다
밀도
가 1000배 이상 큰 만큼 같은 속도의 바람보다 에너지도 1000배 이상 크다”고 말했다. 해운대 앞 해저 지형은 골짜기 모양으로 돼 있어 이안류가 발생하기 쉽다. 육지에 부딪힌 뒤 남은 파도 에너지는(①) ... ...
동전만한 크기에 DVD 3000편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14.06.19
잃지 않도록 한 것. 홍 교수는 “기존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정보저장
밀도
를 높일 수 있게 됐다”며 “하드디스크 제조공정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 각종 패턴 공정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분야 국제학술지 'ACS Nano' 4월 22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트랜스지방, 왜 독덩어리 취급 받나 했더니
과학동아
l
2014.06.17
실험용 어류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트랜스지방이 ‘혈관 청소부’로 불리는 ‘혈청고
밀도
지단백(HDL)'을 변형시켜 세포독성과 혈관독성을 유발시킨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HDL은 혈관벽에 노폐물이쌓이면 이를 제거해 주는 유익한 단백질이다. 트랜스지방이 이 단백질의 기능을 하지 못하도록 막아 ... ...
1000년 뒤엔 ‘플라스틱 돌멩이’가 지질학 증거?
과학동아
l
2014.06.15
교수는 “앞으로도 각종 퇴적물이 플라스틱에 점착하는 방식으로 플라스티글로머럿의
밀도
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며 “암석이 바람이나 물에 의해 이동하지 않고 한 지역에 꾸준히 매장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래이첼 오바드 미국 다트머스대 교수팀이 추출해낸 얼음 코어 속에는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즉 차가운 암흑물질만을 생각하는 기존 이론이 예측하는 것보다 우주 은하 무리의
밀도
가 떨어지는 건 뜨거운 암흑물질인 불임 뉴트리노가 섞여 있어 천체가 형성되는 속도가 늦어졌기 때문이라는 것. 한편 ‘피지컬 리뷰 레터스’ 4월 25일자에는 불임 뉴트리노가 암흑물질일거라는 또 다른 ... ...
늙은 줄기세포 고쳐 골다공증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4.05.26
‘NF1-C’라는 유전자를 제거했더니 치아뿌리가 만들어지지 않고 턱뼈와 다리뼈의
밀도
가 줄어드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 유전자의 역할이 뼈모세포 분화를 조절하는 물질을 많이 만들게 하고 지방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물질은 억제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실제로 이 유전자를 없앤 쥐의 ... ...
삼성 모든 기술-인력 모아 ‘미래 먹거리’ 찾는다
동아일보
l
2014.05.26
김 소장은 “시장에서 요구하는 300km 이상의 주행거리를 만족할 수 있도록 에너지
밀도
를 두 배 이상 향상시킨 차세대 소재를 1, 2년 안에 개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삼성전자가 출시한 웨어러블 기기 ‘삼성 기어 핏’에 들어간 세계 최대 용량(210mAh)의 커브드 배터리 역시 이 연구소에서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