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
산출
제조
출산
저작
연출
출생
d라이브러리
"
생산
"(으)로 총 4,4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적인 미래 연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빈약했다. 분자 육종법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하려면 분자 육종법으로 인해
생산
성이 좋아진 실험결과 또는 우수한 품종을 육성하게 된 실험 자료를 추가했으면 더욱 과학적으로 의미 있는 결론이 나왔을 것이다. 과학적인 문헌자료가 뒷받침돼야 이 학생의 포트폴리오는 부족한 면도 ... ...
세계 최대 실험용 핵융합로 재가동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수 있도록 설계를 변경했다. 핵융합은 플라스마 온도가 최소 1억℃가 돼야 에너지
생산
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온도를 높이는 작업도 할 계획이다. 유럽핵융합개발위원회(EFDA)는 “성능을 향상시켜 ITER 실현에 한 걸음 다가가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 ...
통합과학 - 생명 암호해독에 숨겨진 논리체계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전쟁과 같이 정보의 보안이 중요할 때 암호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암호의
생산
자와 해독자 사이의 약속이 많고 복잡할수록 전달해야 할 정보의 양이 늘어난다. 생명 암호는 최소한의 구성원소를 이용해서 지구상 모든 생물의 정보를 담는다. 생명 암호 해독의 논리와 탐구과정을 살펴보자. ...
“잠재력 가득한 미래 발전소”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그는 흠칫 놀라는 기자에게 웃으며 설명을 시작했다. “원자력 발전은 상당량의 전기를
생산
하지만 위험요소가 있어요. 하나고도 아직 두 학년 밖에 없어요. 독특한 커리큘럼의 결과는 아직 모르죠. 그렇지만 자율성이 존중되는 학교에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 능력을 갖추면 어디에서도 제 ... ...
[Culture Math] 분수 셈으로 만든 나만의 단소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기준이 되는 기본음이 필요하다. 세종대왕 시기에 음악가 박연은 황해도 해주에서
생산
되는 곡식인 기장 90알을 일렬로 나열한 길이를 ‘황종' 으로 삼았다.그 길이는 31.23cm인데, 황종은 서양 음계의 ‘도’ 와 일치한다.대나무 관으로 단소 만들기이제 본격적으로 단소를 만들어 보자. 먼저 단소의 ... ...
Part 3. 합성생물, 차세대 게놈 클럽 주인공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사업단’이 출범했다. 사업단은 합성생물을 만들어 바이오시밀러와 유용한 화합물을
생산
할 예정이다. 합성생물은 미생물에 국한돼 있지만 점차 동물과 식물까지 그 영역이 넓어져 새로운 작물을 만들고 사람의 질병을 치료하는 데 쓰일 것이다.합성생물, 아무나 만들 수 있다?합성생물학은 최근 ... ...
Part1. 동물 1만 종 게놈 해독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사람과 같이 산 지도 벌써 8000년이 넘었군요. 사람들은 이 시간 동안 우유와 고기를 잘
생산
하도록 우리를 골라왔어요. 특히 온순한 성격을 가진 소를 선택했죠. 그래서 우리 유전자 중에는 온순한 성질과 관계된 유전자가 많을 수도 있답니다.개 저도 한마디 할까요? 저는 사람과 가장 먼저 살기 ... ...
나노물질로 유도만능줄기세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차의과대 교수팀은 공동으로 나노물질을 이용해 더욱 안전하게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생산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유도만능줄기세포는 체세포에 조작된 유전자를 넣어 마치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상태로 되돌린 세포를 말한다. 환자 자신의 세포를 이용할 수 있고, 배아를 이용하지 않아 윤리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그리드는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원을 기존 대형 발전소와 연결하고, 가정과 전력
생산
자를 쌍방향으로 연결하는 새로운 전력 네트워크다. 정교한 제어가 가능해 미래의 복잡한 전력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이를 위해서 몇 가지 기술적인 뒷받침이 이뤄져야 한다. ... ...
전력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정책과도 연관돼 있으므로 넓은 시각을 갖고 있어야 한다. [전력시스템공학에서는 전기
생산
을 비롯해 효율적이고 안전한 송전과 배전, 모든 과정을 연구한다.]6 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요?대학원 과정에서는 강의수강이 50%, 연구가 50%씩 이뤄진다. 주로 연구하는 분야는 요즘 떠오르는 스마트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