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근처의 해수면은 38~42cm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안 모양과 도로는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고 있죠. 또 실제로 대비하는 데 사용하려면 정확성과 신뢰도가 중요합니다. 그래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제트추진연구소, 극지연구소와 함께 예측 오류를 줄여나가기 ... ...
- [진로체험] 박영용 씨젠생명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수학동아 l2020년 01호
- 판정을 내리게 될 수 있죠.그래서 그래프가 특정 값보다 커지는 것과 관계없이 그래프의 모양을 분석해서 질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만든 거예요. 질병이 있을 때 시약에서 유전자가 증폭되면서 나타나는 그래프는 인구 증가를 설명하는 수학 모형의 해가 그리는 그래프와 아주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떨어져도 깨지지 않는 달걀?! 달걀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친구는 “스펀지로 밑바닥을 만들고 빨대로 기둥을 만든 뒤 풍선을 매달아 열기구 모양의 구조물을 만들었다”고 자신의 낙하물을 설명했어요. 충격을 줄여라! 그 비법은? 야구 경기에서 포수들은 맨손에 가해지는 강한 충격으로부터 부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 글러브를 껴요.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만든 로봇 벤처인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고도의 로봇 관절 구동 기술을 이용해 로봇팔 모양의 협동로봇인 ‘RB3-1200’ ‘RB5-850’ ‘RB10-1300’ 등 ‘RB’ 시리즈를 제작해 2019년 판매를 시작했다. RB는 좁은 공간에서 물건을 들어 올리고, 용접이나 실링 등을 대신할 수 있다. RB 뒤에 붙은 숫자는 가반하중 ... ...
- [ 과학동아 X Geekble] 치킨 발사기! 맹맹한 프라이드 치킨에 허니콤보 소스를 입혀주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완성되면 모든 긱블 크루 앞에서 시연을 합니다. 작품 이름은 치킨 발사기지만, 시연은 모양이 비슷한 핫도그로 했습니다. 핫도그가 치킨보다 빨리 구할 수 있고, 돈도 적게 들었기 때문입니다.위쪽 관에 핫도그를 놓고, 아래쪽 관에 케첩을 듬뿍 넣었습니다. 케첩은 구멍을 통해 위로만 분사될 수 ... ...
- 윷놀이를 이겨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배제했다고 해. 실제 윷보다는 좀 더 원에 가까운 통통한 모양이지? 윷을 굴리느냐 던지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다들 좋은 윷을 구해왔겠지?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전략을 세울 때야. 윷을 굴리느냐 던지느냐에 따라서 윷이 엎어질 확률이 완전히 달라지거든. 위에서 ... ...
- 작은 세계에선 나지! 마이크로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제이미 백 교수가 만든 ‘트라이봇’이에요. 형상기억합금은 특정 온도에서 모양이 변했다가 원래 모습을 기억해 돌아오는 금속인데, 트라이봇은 두 다리 사이 마다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을 달았어요. 스프링이 온도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면 로봇이 다리를 벌렸다 오므리는 동작을 할 수 있지요 ... ...
- [현장취재] 하늘에 묻는다 … 세종이 하늘을 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우리 하늘을 알아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해주셨어요. 그래서 옛사람들은 달의 모양을 기준으로 ‘음력’을, 태양의 위치를 기준으로 ‘양력’을 만들어 계절을 파악했지요. “장영실은 달과 태양 같은 천체의 움직임을 관측하기 위해 간의를 만들었어요.”‘간의’는 혼천의를 간소하게 만든 ...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복구할 수 있다. 또 염색체 11번에 있는 아데닌(A)과 티민(T)이 돌연변이를 일으켜 낫 모양의 적혈구가 생성돼 심각한 빈혈을 유발하는 겸상적혈구빈혈증, 중추신경계가 파괴되는 테이삭스병(Tay-Sachs disease) 등 이전에는 꿈도 꾸지 못했던 유전질환 완치에 희망이 생긴 것이다. 시퀀스가 무작위로 ...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인터넷에서 검색하면 비슷한 의문을 가진 사람이 많다. 한 가지 설은 플라스마를 검 모양으로 가두고 있는 모종의 장(field)이 벽과 같은 역할을 한다는 아이디어다. 플라스마가 나오지 못하게 막고 있으니 다른 광선검의 플라스마도 쳐낼 수 있다는 것이다. 플라스마의 열은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면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