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실]수학과 예술의 만남! 정다각형 테셀레이션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두 가지 이상의 배열이 나타나면 반정테셀레이션이라고합니다. 물론 정다각형이 아닌 모양으로도 테셀레이션 할 수 있습니다. 또 도형을 거울에 비춘 듯 반사시키고 평행이동하는 ‘미끄럼 반사’ 대칭을 한 뒤 테셀레이션 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을 미술 작품으로 이끈 대표적인 작가가 20세기 ... ...
- [한페이지 뉴스] 말미잘처럼 쓱~ 집는 소프트로봇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릴 수 있었다.장 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로봇은 물건의 크기, 모양 등에 구애받지 않고 물건을 효율적으로 집을 수 있다”며 “산업 현장이나 심해 탐사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63/1.512847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였다. 러시아도 이에 동의해 나로우주센터의 화염유도로는 U 모양으로 발사패드 아래 약 17m 깊이로 설계됐다. 이는 다른 나라 발사장과 차별되는 나로우주센터만의 특징 중 하나다. 러시아의 기술을 우리나라 지형에 맞도록 수정하는 공동작업은 한동안 계속됐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신기한 대칭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2호
- 80°, 240°, 300°, 360° 회전이 있죠. 보통의 정육각형이었다면 반사도 있었겠지만, 소용돌이 모양이 반사를 불가능하게 막아버렸네요. 때로는 순서가 중요하다!그럼 이 소용돌이 육각형 군과 정삼각형 군은 같은 군일까요? 둘 다 움직임이 6가지이지만 같은 군은 아닙니다. 그럼 우리는 과연 어떻게 이 ... ...
- [퍼즐라이프] 퍼즐라이프 '메달리온'과 4차원 미로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미로 메달’이라는 이름을 붙여 기념품으로 주기도 했죠. 메달리온의 본체는 반원 모양의 조각 2개가 맞물려 만들어졌습니다. 금색, 은색 원판에 새겨진 홈이 본체에 달린 ‘걸쇠’에 끼어 분리되지 않지만, 퍼즐을 풀어 원판을 빼면 본체를 좌우로 당겨 두 조각으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 ...
- [수학뉴스]인어공주 조개가 입을 꾹 다문 사연은?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자라며 누르는 힘이 위아래 껍질을 완벽하게 맞물리게 한 거죠. 또한 위와 아래 껍질 모양의 대칭성은 크게 중요하지 않았지만, 휘어지는 정도의 차이는 껍질 성장 속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 1월 7일자에 실렸습니다. ... ...
- 발굴 현장에서 지도를 그려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같았는데요, 카메라를 두 개로 쪼개놓은 모습이었습니다. 기계 사이에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프리즘이 있었습니다. 긴 삼각대 위에 설치된 3D 스캐너를 작동시키자, 가운데 있는 프리즘이 수직 방향으로 빠르게회전하기 시작했습니다. 동시에 3D 스캐너 역시 수평 방향으로 360°로 회전하며 스캐너 ... ...
- [통합과학 교과서] 고구마 마차가 온 사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금속 물질을 부식시키는 비율은 0.8%에 불과했답니다. 또 납작했던 기존 제설제의 모양을 구슬형으로 바꿔 제설제의 성능도 높였어요. 도로에 뿌렸을 때 기존 구조보다 오래 형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제설 지속시간은 2배 길고, 눈을 녹이는 속도는 1.7배 빠르답니다.# 에필로그...“나이쓰!”신데렐라가 ... ...
- 얼음이 녹으며 별별 일이 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나타나다!2019년 11월 29일, 러시아 동토층에서 한 개과 포유류 미라가 발견됐어요. 온전한 모양을 갖춘 것은 물론 털과 수염, 눈썹까지 완벽하게 보존돼 있었답니다. 러시아 북동연방대학교 세르게이 페도로프 연구원팀은 2018년 여름, 시베리아 동쪽의 야쿠츠크에서 이 미라를 처음 발견했어요. 강변의 ... ...
- [한페이지 뉴스] ‘별의 요람’ 위치는 우리은하 나선팔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파(Rad cliffe wave)’라는 이름을 붙였다. 알베스 연구원은 “지금까지는 별의 요람이 고리 모양으로 형성돼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지배적이었다”며 “이런 이론은 수정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1월 7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 10.1038/s41586-019-1874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