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5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차전지 수명 3배 늘린다…새로운 리튬 복합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리튬금속과 비교해 낮은 에너지 밀도뿐만이 아니라 이론 용량이 월등히 적고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차지한다. 이에 따라 리튬금속이 차세대 리튬 이차전지의 가장 이상적인 음극재로 여겨졌다. 일반적인 리튬이차전지는 충전 시 양극에서 음극으로 리튬이온이 이동해 전기에너지를 저장한다. ... ...
차세대 원자력 기술개발·실증에 2조5000억원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24.06.04
소형모듈원자로(SMR) 조감도. 대형 원전과 비교해 에너지 용량이 적지만 안정성이
큰
차세대 원자로다.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정부가 미래 무탄소 에너지원 확보를 위한 차세대 원자력 기술개발 실증 로드맵을 올해 하반기에 수립하고 차세대 원자로 상용화를 위해 약 2조5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 ...
소형모듈원자로 안전 규제기준 마련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6.04
KINS) 책임연구원이 단장으로 선임됐다. 유국희 원안위 위원장은 "SMR이 규제 측면에서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며 "과학기술적 근거를 바탕으로 SMR에 적용된 혁신적 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꼼꼼히 확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인구 SMR 규제연구추진단장은 "SMR 규제 체계 및 기술을 적기에 마련해 ... ...
"초미세먼지+고령화로 2050년 국내 사망자 3배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6.04
교수는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건강 취약계층이 많아지면서 초미세먼지가 공중 보건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면서 ”지금보다 훨씬 강화된 미세먼지 대책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 ...
명지병원, 70대·기저질환 환자 폐 이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환자들에게 자유롭게 숨 쉬는 건강을 선사하고 싶고 장기이식 분야가 발전을 이루는데도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명지병원 폐암·폐이식센터는 지난해 2월 문을 연 뒤 지금까지 17건의 폐이식을 시행한 바 있다. 명지병원은 지난해에도 68세와 66세 등 65세 이상 환자의 폐이식을 시행했다 ... ...
올여름 80년만의 '신성 폭발' 맨눈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북쪽왕관자리T는 지구 정도 크기인 백색왜성과 태양보다 약 70배
큰
적색거성으로 구성됐다. 이 두 별은 8000만km 거리를 두고 아주 가까이 붙어있다. 중심핵에서 핵융합 반응에 의해 수소의 연소가 끝나 진화 단계에 도달한 적색거성이 온도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 ...
돼지 간 이식 환자, 2주 넘게 생존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교수는 "환자는 매우 좋은 상태"고 설명했다.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는 간 우엽에
큰
종양을 갖고 있었다. 종양은 신체의 다른 부위로는 전이되지 않았지만 좌엽만으로는 간 기능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였다. 8시간에 걸친 수술에서 의료진은 환자의 간 우엽을 제거했다. 이어 생후 11개월, 몸무게 3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영상으로 몸 내부를 직접 보고 관찰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오늘날에는 위 이외에
큰
창자(대장)와 같은 소화기계통은 물론 기관을 포함하는 호흡기계통, 방광을 포함하는 요로 계통, 여성의 자궁 등을 내시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또 관절경, 복강경과 같이 구멍이 없는 곳도 피부에 작은 ... ...
명왕성에 선명한 하트무늬 생긴 이유 찾았다
과학동아
l
2024.06.01
Physics Laboratory/Southwest Research Institute 제공 명왕성이 유명해진 데는 표면의 하트 무늬가
큰
역할을 했다. 2015년 우주탐사선인 '뉴호라이즌스'가 보내온 명왕성 사진에 사랑의 표식인 하트 모양 지형이 선명하게 포착됐기 때문이다. 최근 이 하트 지형이 형성된 원인이 비교적 정확히 밝혀졌다. 해리 ... ...
"양자컴퓨터가 신약 개발하는 시대 머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기반으로 한 1121큐비트 양자컴퓨터를 공개했다. 이는 2021년에 출시된 127큐비트 버전보다
큰
폭으로 늘어난 수치다. 미국 스타트업인 '아톰 컴퓨팅'은 지난해 1180큐비트 양자컴퓨터를 선보였다. 큐비트 수뿐 아니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미국 스타트업 '큐에라', 마이크로소프트 등 전 세계 기업이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