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동안에도 때때로 인간의 수면에 해당하는 잠을 가끔씩 자고 있었던 것이다" 2013년 5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는 서부 여우원숭이 외에 마다가스카르 섬 동부 지역에 사는 또 다른 여우원숭이 세 종도 겨울잠을 잔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이들 여우원숭이는 나무 구멍이 아닌 땅속에서 ... ...
- [Culture] 플레이 전략 3과학동아 l2017년 03호
- “30분 앉아 있을 때마다 5분씩 가볍게 움직여야 혈당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학술지 ‘당뇨치료’ 1월호에 실었다(doi:10.2337/dc15-1240).이 게임을 활용해 야생동물을 관찰하거나 보존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생태 전문가도 있다. 캐나다 궬프대에서 곤충과 생물다양성을 연구하는 모건 잭슨은 ... ...
- [과학뉴스] 3차원 홀로그래피 디스플레이 성능 수천 배 높였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보완해 3차원 홀로그램의 크기를 3배 이상, 시청 가능 각도를 10배 이상 확대했다고 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 1월 24일자에 발표했다.공간광변조기는 빛의 간섭패턴을 저장해 이를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기기다. 그런데 픽셀 수의 한계 때문에 기존의 공간광변조기로는 재생화면의 크기가 1cm, ... ...
- [과학뉴스] 지중해에서도 젠트리피케이션 시작!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두 개의 외래 초식성 어류 때문에 동부 지중해 해조류의 서식지가 사라지고 있다고 학술지 ‘생물침투 관리’ 1월 2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독가시치의 일종인 시가누스 루리두스(Siganus luridus) 등이 해조류 생태계를 파괴했으며, 홍해산 홍합이 이스라엘 토착 홍합종을 대체한 것을 확인했다. 197 ... ...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비록 늦은 감이 있지만 한국반도체학술대회(SK하이닉스,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한국반도체연구조합 주관)에서도 강 박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올해 처음 ‘강대원 상’을 제정해 2월 15일 첫 수상자를 발표했다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스타인버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이 그래프 를 3색으로 칠할 수가 없었던 겁니다. 이 결과는 5쪽짜리 논문으로 쓰여 학술지 ‘조합론 시리즈B’ 2017년 1월호에 실렸습니다.이제 중요한 미해결 문제가 하나 남아 있습니다. 과연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이 없는 평면 그래프는 항상 3색으로 칠할 수 있을까요? 답은 예, 아니오 둘 중 ... ...
- Part 2. 미시세계 꿰뚫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높다.정사면체 좋아하는 금 나노입자정사면체 구조를 한 나노 입자도 있다. 2003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된 원자 20개로 이뤄진 금 나노 입자가 그 주인공이다.금 나노 입자는 주목받고 있는 나노 입자 중 하나다. 금으로 만든 물건은 오랜 시간이 지나도 그 색이 변하지 않는다. 금으로 만든 ... ...
- [Origin] 강아지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교수팀은 인간에게 관심을 가진 강아지가 주인의 과거 행동을 기억할 수 있다고 2016년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밝혔는데요. 연구팀은 17마리의 강아지에게 주인이 전에 하지 않던 행동을 보여주고 ‘따라 해’라고 말해서 그 행동을 기억하게 했습니다. 행동을 본 직후에는 94%, 1분 뒤에는 58 ...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된다. 바로 노화다. 윌리엄스는 노화가 어떻게 진화했는지 설명하는 이론을 1957년에 학술지 ‘진화’에 발표해 학계의 주목을 끌었다.놀랍게도, 문제는 노화만이 아니었다. 윌리엄스는 전문적인 진화학자들조차 모든 형질이 어떤 식으로든 유익했기 때문에 자연 선택됐다는 식으로 게으른 설명을 ... ...
- [Career] 건강장수의 비밀, 초백세시대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카베올린(Caveolin) 단백질이 박혀있어 외부 신호를 차단한다는 연구 결과를 2000년에 학술지 ‘생화학’에 발표했다. 이 단백질이 신호를 받아들일지 말지를 결정하는 문지기 역할을 한다고 해서 노화의 ‘게이트 이론’이라고 불린다.박 교수는 “현재 동료 연구자들과 늙은 섬유세포를 다시 젊게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