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장소를 꼭 적어야 한다. 이런 데이터들이 있어야 먼지입자 샘플들을 분류하기 쉽고, 학술적인 가치가 있다. 샘플들을 집으로 가져온 뒤에는 체로 쳐서 작은 입자(0.5mm와 0.1mm 사이)를 골라낸다. 0.5mm 체를 위에, 0.1mm 체를 아래에 놓고 체를 쳐서 0.5mm 체는 통과하고 0.1mm 체에 걸려있는 입자만을 택한다. ... ...
- [Career] 사람에게 가장 편안하고 편리한 사물을 고민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때 가독성이 높고 사용자의 눈이 피로를 덜 느낀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응용 인간공학’ 4월호에 발표했다(doi:10.1016/j.apergo.2016.11.012).경규형 교수는 “일반 공학 분야는 특정 기술의 연구에만 집중하지만, 인간공학은 사람과 기계, 또는 환경의 관계에 주목한다”면서 ...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중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은 가설은 지금으로부터 60여 년 전에 등장했다. 1956년 국제학술지 ‘노년학’에 2쪽짜리 짧은 논문이 실렸다2). 미국 UC버클리 덴햄 하먼 교수가 제안한 ‘산화적 손상설’이다. 모든 생명체가 일상 호흡으로 소모하는 산소 중 적어도 2% 정도는 유해산소로 변하는데, ... ...
- [과학뉴스] 교통사고 생존자, 응급실에서 테트리스를?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줄일 수 있다면 수많은 사람들에게 큰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분자정신의학’ 온라인판 3월 28일자에 실렸다. doi:10.1038/mp.2017.2 ... ...
- [과학뉴스] 록히드마틴, 화성 베이스캠프 제안과학동아 l2017년 05호
- 3월 21~25일 개최된 48차 달과 행성 학술회의(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LPSC)에서 유인 화성탐사에 필요한 베이스캠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공개됐다.미국의 최대 방위산업체 록히드마틴 사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2028년 유인 화성탐사에 필요한 베이스캠프를 국제우주정거장과 유사하게 ... ...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수각류 공룡이 용반류보다는 조반류와 더 가깝다는 새로운 가설을 세워 지난 3월 22일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doi:10.10138/nature21700).연구팀은 계통분류 프로그램을 이용해 약 3년 동안 74종의 공룡 화석에서 450여 가지의 해부학적 특징을 선별해 각각의 특징에 점수를 매겼다. 그 결과 수각류와 ... ...
- [과학뉴스] 환경건강전망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이처럼 철마다 발생하는 산불로 전 세계에서 무려 33만9000명이 매년 사망한다. 이 사실은 학술지 ‘환경건강전망’ 2012년 2월 18일자에 실린 연구 결과를 통해 처음 알려졌다. 이를 통해 산불이 났을 때 배출되는 유독물질이 기후변화와 전 세계 사망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197 ...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반세기 이상 이어져 온 미스터리에 종지부가 찍힌 것처럼 보였다.그런데 올해 2월 20일, 학술지 ‘고생물학’에 반박 논문이 실렸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지구환경과학과 로렌 살란 교수팀은 작년에 발표된 두 논문이 일부 근거만 갖고 확대 해석했다고 주장했다.먼저 첫 번째 논문. 살란 교수팀은 ... ...
- [Career] 미래 도시 농장의 초석을 놓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정보를 해독해 215가지 생리적 지표들로 생육상태를 정량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학술지 ‘프론티어즈 인 플랜트 사이언스’에 지난 2월 23일에 발표했다. 애기장대는 크기가 손가락 두 마디 정도로 작고, 2만8000여 개의 유전자가 모두 밝혀져 있다. 생애 주기도 3~4주로 짧아 식물연구에 유리한 ... ...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가장 아랫면과 윗면의 변의 길이 비율(테이퍼링 비율)에 따른 바람의 영향을 실험해 국제학술지 ‘풍공학과 공기역학’에 발표했다(doi:10.1016/S0167-6105(02)00286-6). 그 결과 바람이 건물의 정면으로 불어올 때는 예상대로 테이퍼링 비율이 작을수록(위·아래 길이의 차이가 클수록) 바람에 잘 견뎠지만,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