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 열혈가족 인터뷰]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벽이나 풀을 잡고 기어오르지 못해 수조 안에서만 생활했고 번식하지도 않았어요. Q 이 실험이 의미하는 게 있나요? 왕우렁이는 번식력이 매우 좋아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거예요. 토종 논우렁이는 한 번에 20~30마리의 새끼를 낳지만, 왕우렁이는 한 번에 100~900개의 알을 낳아요. 이런 상황이 ... ...
- 보이저…미래의 운명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탐사를 지속할 계획이랍니다. _INTERVIEW 박지우(NASA 고다드 우주센터 태양권 물리학 실험실,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행성 및 태양권 물리학 연구소 연구원) “보이저 팀에서 연구하고 있어요!” Q 이번 연구에 참여하셨다고 들었어요! 보이저 팀에서는 어떤 연구를 하시나요? 저는 2016년에 보이저 ... ...
- 빵빵! 찍찍이 운전기사 나가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반복 훈련을 하면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서적 만족감을 얻는다는 사실이 실험으로 확인됐답니다.지난 10월, 미국 리치먼드대학교 켈리 램버트 박사팀은 수컷 쥐 11마리와 암컷 쥐 7마리를 대상으로 7개월 동안 자동차 주행 훈련을 진행했어요. 연구팀은 투명한 플라스틱 자동차에 쥐를 ... ...
- ‘똥깡통’으로 디날리산의 ‘똥사태’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자연 분해되지 않는다는 추정이 나왔어요. 국립공원청의 지질학자 마이클 로소 연구원의 실험 결과, 자외선이 부족하거나 똥의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지 않아 똥 속 해로운 세균이 살아남는다는 사실이 밝혀졌지요.문제는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녹고 있다는 거예요. 국립공원청은 지난 50년간 ... ...
- [지구사랑탐사대] 이 조그만 벌레가 생물계의 슈퍼스타? 선충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친척을 찾고 있어요. 유전학자들은 영국 브리스톨 지역에 사는 예쁜꼬마선충을 실험에 사용해요. 그런데 자연에는 훨씬 다양한 종류의 선충이 살아요. 우리나라에 사는 선충들의 유전체 정보를 모아 나중에 우리나라 선충의 계보도를 그려보고 싶어요! Q 잘 보이지도 않는데 어떻게 전국의 선충을 ... ...
- 자율주행차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참 곤란하지요? 이 질문은 1967년 영국의 철학자 필리파 루스 풋 박사가 고안한 사고 실험이에요. ‘트롤리 문제*’로 잘 알려졌죠. 이 문제는 자율주행차를 처음 개발하면서부터 논의되고 있는 대표적인 윤리 문제예요. 인간도 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자율주행차는 어떻게 판단해야 ... ...
- 전략적으로 땅 따먹는 퍼즐 게임, 블로커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연구를 발표했지요. 교통사고 환자에게 사고 기억을 떠올린 뒤 테트리스 게임을 하도록 실험한 결 과, 사고 기억을 떠올리는 빈도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 했답니다. 이처럼 다재다능한 테트리스와 꼭 닮은 보드 게임이 있어요. 바로 ‘블로커스’지요. 보드게임으로 퍼즐을 즐기자! 블로커스는 ... ...
- [통합과학교과서] 해님 달님, 늑대의 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선봇은 굴광성 덕에 태양전지에 고정된 셀보다 더 많은 햇빛을 흡수할 수 있어요. 실험 결과, 빛이 땅과 25°의 각을 이루며 들어올 때 선봇은 빛의 90%를, 고정 셀은 24%를 흡수했어요. 태양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오염물질도 내보내지 않아 친환경적인 발전 방식으로 분류되지만, 발전 ... ...
- 지렁이를 사랑한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다른 서식지 환경 두 곳에서 지렁이를 찾아보고 몇 마리나 있는지 헤아려 보세요. 추가 실험을 하고 싶다면 다른 종류의 비료를 땅에 뿌린 뒤 지렁이의 수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확인해 봐도 좋아요 ... ...
- 뇌, 이젠 직접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미니 뇌, 생각할 수 있을까?지난 8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앨리슨 무오트리 교수팀은 실험실에서 만든 뇌 오가노이드에서 실제 뇌처럼 뇌파 신호가 나왔다고 발표했어요. 이는 인간의 뇌와 비슷하게 신경망을 갖추었다는 뜻이지요.연구팀은 10개월간 수백 개의 뇌 오가노이드를 키우며 전극을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