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실험
꾼이 '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순종 쥐의 족보를 관리하고, 유전자가위기술로 유전자를 편집해 유전자변형 쥐도 만들어
실험
실에 제공하고 있지요. 우리나라도 많은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직접 유전자변형 쥐를 개발해 연구에 활용하고 있답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고구마 마차가 온 사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이온을 흡착시키는 물질로, 도로로 빠져나오는 염화 이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지요.
실험
결과 에코스트원이 금속 물질을 부식시키는 비율은 0.8%에 불과했답니다. 또 납작했던 기존 제설제의 모양을 구슬형으로 바꿔 제설제의 성능도 높였어요. 도로에 뿌렸을 때 기존 구조보다 오래 형태가 ... ...
[한페이지 뉴스] 말미잘처럼 쓱~ 집는 소프트로봇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만든 말미잘 소프트로봇으로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진 물체를 집는
실험
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말미잘 소프트로봇은 사람의 손 모양 로봇으로는 쉽게 집을 수 없는 부드러운 천, 복잡한 모양의 열쇠 등을 비교적 쉽게 집어냈다.물체를 소프트로봇 안쪽으로 깊숙이 넣을수록 집는 힘은 강해졌다. ... ...
위험한 달콤함, 초콜릿의 이중성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교수팀은 43~86세 여성에게 카카오파우더가 4g 함유된 음료를 24주간 마시게 했죠. 그 결과
실험
참가자들의 피부 탄력도가 8.6%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oi: 10.3945/jn.115.217711 사랑의 묘약? 동물에겐 독약! 맛있는 초콜릿은 사람을 기분 좋게 만듭니다. 눈이 반짝 떠지고 기운이 나는 듯한 느낌도 ... ...
얼음에서 잘 미끄러지는 진짜 이유? 피겨스케이팅 속 물리학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소속 물리학자 리드릭 보케는 얼음 표면에 있는 액체층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한 가지
실험
을 진행했다. 빙판 위에 구슬을 올린 뒤 말굽자석처럼 생긴 장치(tuning fork)로 진동을 유도하면서 구슬과 빙판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과 액체층의 점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액체층의 점도가 일반 물보다 ... ...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필수품천문을 관측하기 좋은 곳은 곧 사람이 생활하기 어려운 환경이라는 뜻이다. 두
실험
천문학자들에게도 남극 적응은 결코 쉽지 않았다. 김 박사는 남극에서의 첫날밤을 아직도 잊을 수 없다고 했다. 워낙 고도가 높고 건조한 환경이라 목마름과 두통으로 30분마다 깨서 고통스러웠기 때문이다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꽤어려워요 | 융복합 파트너@DGIST
실험
실에 들어서자 얼음이 가득 담긴 스티로폼 상자를 든 연구원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었다. 스티로폼 상자에는 냉장고에서 막 꺼낸 플라스크가 담겨 있었다. 플라스크에 든 것은 항체. 온도를 영하로 유지해야 항체 활성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항체를 0. ... ...
[수학뉴스]어떤 매듭이 더 강할까? 수학으로 확인했다!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실제 존재하는 비틀림이나 압력에 따라 색이 변하는 밧줄로 매듭을 만들어 비교했고
실험
결과와 모형에서 변하는 색의 패턴이 사실상 같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또 밧줄의 교차가 많을수록 매듭이 강하다는 사실도 알아냈습니다.연구를 이끈 던켈 교수는 “어떤 매듭이 더 강한지는 매듭의 미묘한 ... ...
[수학뉴스] 초등학생 수학 실력 높이려면?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하는 교육과정을 개발했습니다. 그리고 초등학교 2학년 10개 학급을 대상으로 1년 동안
실험
했습니다. 5개 학급은 일반 교육과정을, 나머지 5개 학급은 새로운 교육과정으로 학습시킨 뒤 시험을 쳐서 결과를 비교했습니다.그 결과 일반 교육과정으로 교육받은 학생 중 29.8%가 복잡한 문제를 ... ...
소프트웨어와 촉감으로 정교해진다! 휴머노이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롤렌스 요한슨은 성냥을 들어 불을 붙이는 행동에 촉감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아보는
실험
을 했어요. 피험자는 평소에는 재빨리 성냥에 불을 붙였지만, 둘째와 셋째 손가락을 마취시켰을 땐 25초나 걸렸지요. 실시간으로 촉감을 느끼며 손가락 힘과 각도를 조절해야 성냥을 떨어뜨리지 않을 수 있었던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